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외
이례
파격
변칙
이형
변태
특례
뉴스
"
예외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범의 추억
2016.11.08
된 걸까. 논문은 이에 대해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다’는 인생의 교훈이 여기서도
예외
가 아님을 보여준다. 즉 육식을 함으로써 고양잇과 동물 특유의 민첩성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칼로리가 고밀도인 육식을 하면 소화기관이 크게 줄어들므로 복부가 작아지고 따라서 재빨리 움직일 수 있어 ... ...
선생님 몰래 잠자는 기술 ‘웃음’
2016.11.06
미국의 한 고등학교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두 열심히 앞을 바라보며 공부합니다.
예외
가 없습니다. 뒷줄 가운데의 한 남학생은 자세도 바르고 눈빛도 살아 있네요. 그런데 알고보니 그 남학생은 사람이 아니라 사진에 불과했습니다. 주인공은 그 사진 뒤에서 엎드려 자고 있었고 선생님께 ... ...
유아 시절 숫자놀이, 수학 실력 향상? ‘글쎄~’
2016.11.03
한편 여기서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서 라이언 박사도 언급했지만 ‘읽기’만은
예외
라는 것입니다. 다른 비슷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아이들의 어린 시절에 책을 많이 읽어주면 훗날 그들의 읽기 능력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향상된다고 하니 말입니다. GIB 제공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실렸다. 이에 따르면 포유류 가운데 인간의 폭력성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예외
적인 경우는 아니다. 즉 인간이 속한 영장류의 폭력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결국 진화의 산물이라는 말이다. 스페인의 연구자들은 사람을 포함해 포유류 1024종을 대상으로 400만 건이 넘는 죽음 가운데 동종 살해의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어찌되었건 생리의학상은 의학이 강조된 생물학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는 없다. 다만
예외
가 있는데 바로 식물학 분야다. 아무리 위대한 발견이라도 식물에 고유한 현상이라면 노벨 생리의학상 대상이 되지 못한다. 옥수수를 연구한 식물유전학자 바바라 맥클린톡이 1983년 생리의학상을 받기는 ... ...
[2016 노벨 물리학상] 평평한 2차원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
2016.10.05
바뀌더라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묘사하는 학문이다. 단 물체가 갈가리 찢어질 때는
예외
다. 위상수학적로는 공이나 밥그릇은 같은 구조다. 공의 한 부분을 오목해지게 힘을 가하면 결국 밥그릇처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에 구멍이 난 베이글과 손잡이 부분에 구멍이 난 커피 잔도 ... ...
[2016 국정감사]과학계 인력문제 수 년째 제자리
2016.10.04
훨씬 밑도는 40만 원의 금액을 받고 있다”며 “교수가 하한선을 지키지 않기 위해 적용
예외
요청서를 작성하도록 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비례대표)은 “이공계 인력이 유출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공계 전공자들의 병역 대체 복무를 인정하는 ‘병역특례제도 폐지’까지 ... ...
기장은 왜 공항으로 비행기를 돌리지 않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일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의 정보를 이용한다. 하지만 재난처럼
예외
적으로 패턴이 없는 상황에서도 패턴을 찾으려고 애쓰다 보니, 상황을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걸리고, 심하면 현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2005년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세계무역센터의 생존자 90 ... ...
[고성 봉포호, 광포호] 어느 날 갑자기, 외래종의 습격! 봉포호, 광포호
2016.09.29
박힌 돌 빼는 상황을 종종 경험한다. 힘이 없으면 밀려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 석호도
예외
는 아니다. 특히 봉포호와 광포호가 외래종 때문에 아프다. 이곳들은 어쩌다 외래종의 습격을 받은 것일까. 궁금증을 안고 봉포호와 광포호를 차례차례 찾았다. 사색하기 좋은 계절, 가을이다. 올해 ... ...
운명적인 장소
2016.09.24
곳에서 터전을 이룬다. 그 점에서는 동물 중에서 독보적으로 진화해 문명을 이룬 인간도
예외
는 아니다. 오늘날에도 몽골 지역이나 중앙아시아 등지의 유목민은 마치 군무(群舞)를 추며 날개의 노를 젓는 철새나 생태에 적합한 수온을 찾아 대양의 수심에 은빛 수를 놓으며 오르내리는 물고기 떼처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