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서 미시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이 완전히 검증된 것은 아니다. 그러니 과학
기술
이 발달한 21세기에도 자유낙하 실험은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태양계 너머 거시우주는 어떨까. 양자역학과 달리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거듭되는 검증을 거쳐 입증이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않아 실패했으며 올해 6월 10일 발사한 로켓은 발사체 이상으로 공중 폭발했다.교육과학
기술
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8월 9~12일 대전에서 열린 제3차 한·러 공동조사위원회(FRB) 회의에서 나로호 발사를 실패로 결론짓고 재발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재발사는 2차 발사실패의 원인을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찾아보는 시간도 있었다. 지능형전력망으로 불리는 스마트그리드의 문제점과 보완
기술
을 찾아봤던 정우연(부산 재송중 2) 군은 “예전에 과학동아에서 읽은 적이 있는 글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짜봤다”며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독자적인 전력망을 만들고 휴대전화요금제와 연동해 전기값을 ... ...
로킷 클리너, 로봇청소기를 직접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로봇청소기 하나 장만해 보는 건 어떨까. 멋진 로봇의 세계로 초대합니다!로봇은 과학
기술
분야 중에서 가장 매력적이다. 하지만 기계공학, 전자공학, 프로그래밍 같은 여러 지식을 알아야 로봇을 이해할 수 있어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하지만 최근 나온 제품들은 로봇의 진가를 공부하기에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MIT) 교수의 영향이 컸다. 80년대 중순, 윤 교수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에 방문했다가 우연히 보게 된 화합물반도체에 매력을 느껴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문화도 다르고 언어도 잘 통하지 않는 그곳에서 만난 라이프 교수는 ‘힘들게 공부시키는 스승’이었다. 어떤 현상에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결합하는 출제경향을 유지하고 있다. 생물에서는 오페론의 원리에 근거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
과 녹색형광단백질의 방출효율을 물어봤다. 화학의 경우 난이도가 높지 않지만 화학2에서 다루는 화학평형이라는 개념을 모른다면 답안 작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제시문은 이러한 상황을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5월 21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발사한 로켓에는 최초로 우주범선
기술
을 주 추진시스템으로 사용한 우주탐사선 이카로스(IKAROS)가 실렸다. 이카로스는 발사 6개월 뒤에 금성에 도달하고 3년 후엔 태양의 반대편을 탐사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이카로스에는 마름모꼴 형태의 태양돛이 달려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열쇠를 만드는 특별한
기술
이 없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됐다. 그 당시로선 최고의
기술
이었던 셈이다.우리나라는 자물쇠를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우리는 삼국시대부터 자물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 남짓한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 자물쇠와 열쇠는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다.그런데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그렇다면 지문인식
기술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홍채인식
기술
은 어떨까? 먼저 홍채에 대해 알아보자.홍채는 사람 눈 중앙의 검은 동공과 흰자위 사이에 존재하는 도넛 모양을 말한다. 홍채의 무늬는 사람마다 다르고, 같은 홍채를 가질 확률은 거의 0에 가깝다. 또 특별한 ... ...
사랑받는 음악의 비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필요하다. 휴대전화에도 잡음을 없애고 사람의 목소리만 전하는
기술
이 담겨 있다.이
기술
은 지난 월드컵 때 더욱 주목받았다. 중계방송 너머로 끊임없이 들리는 부부젤라의 소리에 짜증난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부부젤라는 250Hz와 500Hz 부분에서 큰 소리를 낸다. 프랑스의 한 방송국은 이 부분의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