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향한 청소년들의 대축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폭넓은 우주∙과학관련 프로그램들을 통해 청소년들의 과학지식습득은
물
론 창의력과 탐구심 계발을 돕는 과학전문 청소년단체로 전국에 5만5천여명의 회원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또한 1986년에 발족해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세계우주소년단(Young Astronauts International)의 정식 회원이다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기술이 진보한다 해도 그에 반하는 기술 또한 발전하기 마련이다.재산보다는 인격,
물
질보다는 정신을 중시하는 세상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춰 지적 재산권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리려는 우리 스스로의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 ...
표면장력이 부리는
물
의 마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아래쪽으로 인력을 받기 때문에 공기와 닿는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배치를 취하게 된다.
물
방울이나 비누방울이 둥근 공모양인 이유도 표면장력 때문이다. 기체에 접해있는 액체 표면에서 액체가 같은 부피를 유지하면서 겉넓이가 최소화 하는 표면장력이 작용한다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감지돼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자동 수도꼭지수도꼭지가 없고 손만 갖다대면
물
이 나오는 자동 수도꼭지 역시 적외선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가 들어있다.소형 카세트녹음이 가능한 소형 카세트에는 음향센서의 일종인 소형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
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 있다는 말이다. 생명현상과 관련된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물
론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문제는 조교수에겐 충분히 흥미롭다. 그래서 단백질 접힘은 조교수의 아이디어 북에 좋은 문제로 올라있다.어렸을 때부터 막연히 과학자가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미래의 자원확보와 환경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도 해양에 산재해 있는 생
물
자원의 획득과 이용을 위한 해양과학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와 연구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할까에 답을 한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반공이데올로기가 강해서 북한에 가서 공산당을
물
리친다는 글을 썼어요. 지금 투명인간이 된다면 내가 아는 사람들이 나 없는 곳에서 무슨 얘기를 주고받는가 그런 것을 알아보러 다닐 것 같아요.충환_ 결국은 그다지 좋은 얘기가 나오지 않는군요. ^^정교수_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가벼운
물
질로 이뤄져 있음을 뜻하는데, 만약 토성을 담을 수 있는 넓은 바다가 있다면
물
위에 뜨는 행성이 될 것이다.토성은 목성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크기지만 환상적인 고리는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멋진 고리 덕분에 가장 아름다운 행성이다. 망원경으로 본다면 1백배 배율 정도부터 앙증맞은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관측하면 혜성의 깊숙한 내면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지금까지 살펴본 계획들은 우주생
물
체를 밝혀내기 위한 걸음마에 불과하다. 더욱 먼미래에는우리태양계를 넘어서 다른 항성계에‘생명 조사단’을 파견하게 될 것이다. 생명의 근원에 관한 비밀은 신의 영역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생명의 ... ...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등이 있다. 이중 인산, 용융탄산염, 고체산화
물
연료전지는 주로 발전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순서대로 각각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발전용 연료전지로 나뉜다. 한편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주로 수송용으로 개발된다. 실제로 미국의 GM, 일본의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