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설명했다. 여기서 이 글을 읽는 유능한 우리나라의 학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자연
과학에서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이란 절대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비록 대폭발이론이 정말로 성공적 이론이라 하더라도 이 이론이 상식을 벗어나는 문제들을 노출시킬 때, 혹시 만에 하나라도 이 이론 역시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운반체 DNA에 실어 페튜니아에 옮긴 결과 적벽돌색 페튜니아꽃이 피게 되었다.
자연
적으로는 옥수수와 페튜니아가 교배될 수가 없지 않은가. 이러한 예는 무궁무진하다.둘째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시간과 공간의 벽을 허물었다. 인간의 췌장에서만 극미량으로 만들어지는 인슐린 호르몬을 이제는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가장 이상적인 산업형태인 것이다.의약품제조에 활용돼이렇게 완전무결한 생체촉매가
자연
에 산재하는 데 왜 이제까지 다양하게 활용되지 않았을까. 효소활용시에는 여러 분야의 과학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효소를 탐색하고 그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생물학을 알아야 하고, 생체내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하다.일본 현대화의 기수 역할을 하고 있는 북 규슈의 공업지대를 제외하고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태양과 상록의 땅'이라고 불릴 만하다. 규슈는 또 '불의 섬'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규슈가 필리핀 지판이 유라시아 지판 밑으로 잠입해 들어가는 섭입대(攝入帶)상에 ... ...
'기적의 섬유' 아라미드펄프 개발하자 세계서 주목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통해 실을 뽑지않음)로 단섬유를 제조하기 때문에 섬유생산공정을 80% 절약할 수 있다.
자연
계의 모든 천연섬유는 '분자성장 및 자체배향'이란 오묘한 법칙에 의해 형성된다. 아라미드펄프는 이러한 법칙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합성섬유다. 이러한 아라미드펄프의 생성원리는 세계적으로 크게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공학적인 질문을 던져보자.
자연
의 신비를 탐구하는 것이 생물학(biology)의 본질이라면
자연
현상과 생명현상을 인류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생물공학(biotechnology)이다. 그중에서 특별히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 환경생물공학(environmental biotechnology)이다. ... ...
황금을 만드는 세균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섭취하는 세포벽의 조그만 구멍이 금의 박막으로 둘러 싸인다.이 관찰로부터 와터슨은
자연
의 토양중에는 금을 몸 주위에 모으는 세균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알라스카의 릴리안 크리크에서 나오는 사금을 보았을 때 와터슨은 대량의 페도미크로븀이 만들어낸 금의 주물을 알아차렸다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받는다. 이렇게 인간의 정감을 풍부하게 해주는 나비가 예전보다 보기가 힘들어졌다.
자연
의 섭리에 어긋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주교수는 나비들이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 요즘의 환경이 안타깝다고 한다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중국의 역사는 끊임없이 바람에 의해 황진이 쌓이고, 그것을 다시 황하가 침식하는 대
자연
의 되풀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속에서 인류문화의 가장 오래된 모습이 태어나 오늘에 이르렀다 할 것이다.광막한 밀밭, 혈거를 개량한 벽돌 집, 그리고 군데군데 보이는 석류나무와 유동(油桐)나무 등은 이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이라 했다.대기중 산소량의 변동은 지질시대를 통해 늘 있던 일이다. 그러한
자연
적인 중거나 감소가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확인된 경우는 없다. 뿐만 아니라 공룡의 절멸은 미식물의 대량 절멸 이전에 시작됐다. 중요한 점은 왜 미식물도 절멸했나를 동시에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룡만을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