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화학자 · 유전학자 1963년 쿄토(京都) 대학 화학과를 졸업, 67년 캘리포니아 대학원 화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 주임연구원, 81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오직 하나의 신경세포만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의 얼 밀러
박사
팀은 이같은 내용을 원숭이의 뇌세포 연구를 통해 밝혀 ‘사이언스’ 9월 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신경세포가 개별적으로 어떤 개념을 다룰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원숭이에게 다양한 형태와 모양, 그리고 ... ...
자가조립하는 나노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도선으로 이상적이라고 생각돼 왔다.일본의 최대 통신회사 NTT의 요시카주 호마
박사
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서 자가조립이 가능한 나노 연결망을 만들려고 했다. 연구팀은 먼저 반도체 식각 기술로 너비 1백nm, 높이 3백nm 크기의 실리콘 기둥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 구조물을 제작했다. ... ...
한국인이 생성과정 밝혀낸 마이크로RNA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생명체 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진 때는 지난 1993년이었다. 미국의 앰브로스
박사
팀은 선충의 발생 시기를 조절하는 일련의 유전자를 찾아냈는데, 이 중에는 놀랍게도 단백질을 생성하지 않은 작은 RNA들도 포함돼 있었다. ‘렛-7’(let-7)과 ‘린-4’(lin-4)라고 이름 붙여진 이 RNA들은 stRNA ... ...
유전자변형으로 치료용 항체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방법도 연구중이다.현재 동물세포배양 연구실에서는 이균민 교수를 중심으로 7명의
박사
과정생과 4명의 석사과정생이 동물세포배양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 ...
영화 속 범죄예측 시스템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만들고 힘을 키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호르몬. 미국 조지아주립대의 제임스 다브
박사
는 감옥에 수감된 죄수들의 혈액을 조사해보니 같은 죄수들이라도 강력범일수록 체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더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로토닌(serotonin) |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진정시켜주는 ... ...
1. 21세기 그린변혁 꿈꾸는 개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지킨 과학자였다. 금속공학을 전공한 이 단장은 미국에서 티타늄의 재활용 기술로
박사
학위를 딴 뒤, 지난 1988년 국내로 자리를 옮겼다. 한국자원연구소에서 연구실장과 부장을 거쳐 자원재활용사업단장을 지낸 이 단장은 국내 재활용 기술분야의 터줏대감. 연구자로서 긴 시간을 보내서인지 이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이산화탄소의 10%밖에 흡수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미국 워싱턴대의 제프리 리키
박사
팀은 4월 ‘네이처’에 아마존 열대우림의 강물과 습지에서 낙엽 등이 썩는 과정에서 숲이 흡수하는 만큼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열대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와 배출량은 균형을 ... ...
물리와 사랑에 빠진 탄소나노튜브의 대부 임지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물리학
박사
1980년-1982년 MIT
박사
후 연구원1982년-1984년 AT&T 벨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1984년-1986년 벨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원1986년-현재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1991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논문상 수상1995년 제5회 한국과학상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책임자인 프랭크 올드필드
박사
는 “비록 일부 지역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카무포
박사
의 연구결과는 매우 신뢰할만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최근 화가들이 카메라와 같은 도구를 이용했다는 사실이 화제가 된 적이 또한번 있었습니다. 영국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지난해 19세기 고전주의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