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재해
해
해독
악영향
폐
d라이브러리
"
위해
"(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같이 설계된 건, 모터 하나만으로 문고리를 돌리는 등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다. 이를 사람 팔에 그대로 붙인 탓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얘기다. 인간의 손목은 로봇 팔과 달리 회전이 불가능하다(한쪽 손으로 다른 쪽 팔뚝을 잡아 고정시켜놓고 문고리를 돌리는 동작을 해보자. 손목이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단어 수가 많은 정도) 의미 있는 수준이 아니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81개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 결과를 모두 더했다.(148~149쪽 네트워크 그림) ‘달-해’의 연결고리가 스페인어에도 등장하고 일본어에도 등장한다면 ‘달-해’ 링크(연결선)의 가중치를 2라고 지정하고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건드리다간 오히려 일만 키우죠. 단지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새 약을 처방해드립니다. 하루에 한 번씩 복용하시면 알이 퍼질 가능성이 80퍼센트 줄어들어요.”젊은 의사는 희미한 미소를 지으며 윤정을 올려다보았다.“가벼운 감기 증상과 현기증을 열흘 전에 겪으셨다니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시각의 어떤 부분이 선천적인지, 또 어떤 부분이 경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답니다. 혀로도 본다고?시각장애인들이 혀로 앞을 볼 수 있게 도와 주는 장치가 있어요. ‘브레인포트V100’이란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과 조작기, 그리고 입에 물면 혀에 400개의 전기 ... ...
[수학뉴스] 주토피아를 만든 소프트웨어의 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합니다.그 뿐만 아니라 양이나 여우와 같은 동물의 털이 더욱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가상의 털 층을 만들었습니다. 털 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으로 털이 푹신푹신해 보이도록 하는 겁니다.주토피아의 감독 바이론 하워드는 미국 IT 전문 온라인 잡지 ‘엔가젯’과의 인터뷰에서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이론은 더 나은 선택을
위해
참고 정도만 해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 시빌 워를 보기 전에 란체스터 법칙을 포함한 나름의 방법으로 그들의 승부를 예측해 보자. 이전 시리즈까지 분석하며 다양한 변수를 함께 고려해 승부 결과를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간단한 이 문장이 바로 FLT다. 아마추어 수학자가 증명 없이 남긴 이 글귀를 증명하기
위해
수많은 수학자가 도전했지만번번이 실패했다. FLT는 19세기에도 난해한 문제로 유명했는데, 마지막까지 아무도 증명하지 못해 마지막 정리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수학의 왕자’로 불렸던 가우스도 FLT를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친구를 만나기
위해
저승으로 여행을 떠난다.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저승을 찾기
위해
길가메시는 어떤 준비를 했을까? 여러 가지가 필요하겠지만, 아무래도 길을 찾는 데 쓸 지도가 있어야 한다. 수천 년 전 바빌로니아에서는 어떤 지도를 이용했을까?미지의 세계까지 담긴 지도 실제로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녹내장을 앓는 눈의 안압과 수분 배출 정도를 비교할 예정이에요.심각한 병을 예방하기
위해
맛있는 팬케이크를 굽는 연구를 했다니 정말 재미있고 신기하지요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때 나오는 뇌의 전기신호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 전기신호를 손동작과 정확히 짝짓기
위해
기계학습(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고장난 척수 대신 컴퓨터에 뇌 신호를 집약․변환․전달하는 업무를 맡긴 셈이다. 연구팀은 뇌에서 측정한 미세신호를 컴퓨터로 보내 손동작을 일으키는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