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현황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가 소개하는 에피소드 하나. 어느
날
국회의원들이 시골 일선 학교에 나와서 교실에 있는 지구본을 보고 "지구본이 왜 삐뚤어져 있느냐"고 묻자 학생들이 "저 만지지 않았어요"라는 답을 했다는 것이다. 담임선생님은 "들어올 때부터 그랬다"고 하고 ...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1995년부터 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천문학은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질 것이다.소백산천문대의 직경 60cm 망원경은 선진국의 경우 ... 찬란했던 천문학 역사에 부끄럼이 없도록 우리 천문대가 떳떳한 독립기관으로 자리잡을
날
이 조만간 오기를 기대해본다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오므라든 채 옆을 향하고 있다. 아울러 잎도 움츠리고 있어서 볼품이 없지만
날
씨좋은
날
하늘을 향하여 활짝 핀 모양은 참으로 아름답다.꿩의 바람꽃의 근경은 연뿌리같은 형이며 양끝이 좁아들어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양두첨(兩頭尖, 양쪽 머리가 뾰족하다)이란 한약명으로 이 꽃을 지칭하기도 ... ...
우주를 나는 비행기 「젱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주파한다. 호러스는 2~6인의 우주비행사와 2~4t의 화물을 싣고 고도 4백km 적도궤도를
날
수 있으며 우주여객기로 사용할 경우 승객 36명을 태울 수 있다. 젱거의 모습은 아직 컴퓨터 모니터에서만 볼 수 있지만, 터보제트엔진의 개발은 마하 4를 실현하는 단계에 와있다 ... ...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못하고 다시 땅으로 떨어지고 맙니다. 비누 방울은 바람을 타고 푸른 하늘로 자유롭게
날
아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자유와 평화를 주는 것 같습니다.셋째 비누 방울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만일 비누 방울이 오랫동안 유지된다면 지금같은 매력은 쉽게 없어졌을 것입니다. 아름다운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9까지의 숫자는 비순차적(random)으로 나타
날
까? 즉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같은 빈도로 나타
날
까 하는 질문이다. 현재까지의 계산으로는 π가 이런 통계적 검사를 통과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π값은 무한히 계속되므로 이 숫자 중에 어떤 일이 있을지 누구도 모르는 것이다. 이를테면 이 숫자중에 2.718 ... ...
대형사고 유발하는 소프트웨어 버그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결함에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다. 가령 4륜구동자동차나 자동제동시스템(ABS) 등이 고장
날
때 보통의 수동식 자동차보다 훨씬 고치기가 어렵다.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두뇌다. 인간이 스스로 하기 힘든 일을 컴퓨터가 대신하게 할 때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내리는 역할은 소프트웨어가 한다. 그런데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A B C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컴퓨터 공포증을 가진 구세대는 그 옛
날
전신에 쓰던 '모스신호'를 상기하면 된다. 잘 알다시피 모스신호는 긴 음과 짧은 음을 마치 0과 1처럼 써서 말을 만들어 전신으로 보낸 것이다. 이는 컴퓨터에 쓰는 0과 1로 된 '디지털' 표기와 다를 바 없다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쓰고 큰 눈에 비대한 몸체를 보이는 것은 알고 보면 전형적인 옛 몽골족의 모습이다. 옛
날
제주도는 원나라의 목마장으로 정해져 적지 않은 몽골인이 이곳에 주둔했기 때문에 제주도에는 몽골인을 닮은 돌하루방이 만들어졌다는 학설이 있다.지난 90년 공신주의를 포기우리나라 소주도 몽골의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맞게 됨).하지만 이런 방식은 요즘의 기능에 비하면 원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날
이 흐리거나 역광 등의 상황에서는 속수무책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형 플래시가 내장된 카메라가 나왔지만 사진의 선명도는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깨끗한 사진을 간편하게 얻겠다는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