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아기의 목숨과 자신의 팔을 맞바꾼 길리엄(존 허트 분)의 행동은 성스럽기까지 했다. 그런
데
의문이 든다. 과연 서로의 팔·다리를 나눠 먹으며 버티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김수진 고려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팔이나 다리가 절단되면 혈관이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 ...
[수학뉴스] 폭동과 쇼핑이 똑같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것이 폭동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프라이 교수는 “폭동 예측 모델은 현장
데
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하다”며, “이 모델을 정책 결정에 활용하면 폭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만들기근
데
말이야. 당신 말을 듣다 보니 나도 인공생명체를 한 번 만들어 보고 싶은
데
…. 방법이 없을까?이제 좀 말이 통하는군. ‘MCell’이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1차원 세포자동자의 일종인 인공생명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지. 앞에서 소개한 ‘롤 30 세포자동자’를 함께 만들어 보자구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데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어림잡아 신호등이 전국에 10만 개쯤 있을 텐
데
, 하나 만들기도 어려운 신호등을 그렇게나 많이 만들다니! 흔한 신호등이 갑자기 귀하게 느껴졌다. 새삼 도로교통공단에서 열심히 일하는 분들의 열정이 뼛속 깊숙히 다가왔다.교통산업의 발전을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아메리칸’은 “새 접근(브레인액티비티맵)은 기존 연구를 잘 유지하는 가운
데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저명한 뇌과학자 마이클 가자니가의 말을 인용해, 기존 뇌과학 연구가 오히려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첫 문샷 계획, 즉 아폴로 계획이 우여곡절 끝에 성공했다는 것이 유일한 ... ...
암호문의 끝판왕은?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만든 S자 조형물이 있다. 그리스어로 ‘숨겨진’이라는 뜻을 갖는 조형물 ‘크립토스’인
데
, 1990년 11월 조각가 짐 샌본이 당시 CIA 암호연구소 소장이었던 에드 샤이트의 도움을 받아 암호를 새겼다. 크립토스에는 한 알파벳을 여러 개의 알파벳으로 바꾸는 ‘다중치환암호’가 사용됐다.먼저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새로운 물질의 발견에 크게 의지하는 만큼 빠른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런
데
잠깐. 그럼 이 말은 한나절도 못가 뻗어버리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앞으로도 한동안은 죽 써야 한다는 뜻이 아닌가!와이파이 쓰듯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케이블을 꽂지 않아도 배터리가 채워지는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작은 손해를 각오하고 인기척을 내 도둑 스스로 도망가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
데
만약 몽둥이를 들고 도둑과 싸우려든다면 도둑은 강도로 돌변한다. 인체가 H5N1에 감염되면 똑같은 일이 벌어진다. 새 대신 낯선 숙주(인간) 몸속에 들어온 바이러스는 과민 반응한 면역계와 죽기 살기로 싸운다.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생명활동 보조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토양을 깔고 나무, 화초를 심는다. 나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물도 현지에서 생산했다. 달의 극지역까지 배수관을 설치한 뒤 극지 얼음을 녹여 물을 조달했다.달 지하의 흙속에서 물을 추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달 지하 흙을 가열하면 흙속의 물 분자들이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했지만 쉽지 않았다. 보통 색깔을 가진 재료를 고운 가루로 만든 뒤 안료로 만드는
데
, 청금석은 곱게 갈수록 그 빛을 잃기 때문이다.청금석으로 울트라마린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기록상으로 13세기가 넘어서야 울트라마린이 사용되었고, 청금석이 유럽에 본격적으로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