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불의 고리’에서 계속 이어지는 지진이 빨리 끝나길, 지진으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길 바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귀여운 애완동물, 햄스터 기르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또한 사람이 먹는 음식 중 소금과 감미료가 있거나 기름에 튀긴 것도 먹어서는 안 됩니다.사람에게 양배추는 비타민c가 굉장히 많아 건강에 좋은 채소예요. 하지만 햄스터에게는 꽤 위험한 음식이랍니다. 양배추에는 ‘고이트로겐’이라는 물질이 많은데, 햄스터가 고이트로겐을 너무 많이 먹으면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조각과 유사한 도형 2개를 띄웁니다. 도형은 화면이 바뀔 때마다 회전합니다. 연구팀은 사람의 시선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기술을 이용해 아이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화면을 보고있는지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남쪽 지평선이 북쪽 지평선보다 더 높고, 가깝게 보였습니다.연구팀은 이렇게 고대 사람들이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에 따라 돌기둥을 세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것으로 천문 관측이 5000년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판에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떤 프로그램 때문이다. 아름이가 류건과 함께 잡혀간 이유는 단지 그와 관련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아름이는 창밖으로 시커먼 바닷물이 넘실거리는 방에 갇힌다. 항상 4명이던 파란노을 동아리방은 아름이가 빠진 채 3명이 지키고 있었다. 자신들만이 아름이를 구할 수 있다고 판단한 친구들은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학생이 학교생활에 의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학생들은 독립적인 주체로서 행복한 사람으로 커 나갈 것이고, 행복한 학생을 만나는 교사 또한 행복해질 것으로 믿는다.아울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재미있고 유익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는 미래교실 네트워크 소속 교사들에게도 감사의 ... ...
- [과학뉴스]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피운 사람들은 노력이 많이 필요한 일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대마초가 사람의 동기나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증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정신약리학’ 저널 9월 2일자에 실렸다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치고 설계의 중요성을 모르거나 설계가 잘못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당연히 배터리 제조 업체는 공정 과정에서 발화할 수 있는 불량 배터리 셀을 골라내는 검수 작업을 필수로 한다.혹시 일부 언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납품 일정의 압박으로 이 과정을 생략하거나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됩니다.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에게 옮지 않고, 구제역과 달리 우제류(발굽이 2개로 갈라진 동물)에게도 전염되지 않습니다. 공중화장실에서 옮는다?아주 드물게는 환자의 체액과 직접 접촉해 옮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2001년에 콜레라에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약 신문지가 U자 모양으로 말려 있다면 훨씬 빨리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람의 뇌에 주름이 발달하면서 뇌세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고, 전기신호를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뇌 주름 생성과정 ‘실리콘 뇌’로 밝혀과학자들은 진화 과정 중에서 대뇌 피질이 ... ...
이전5745755765775785795805815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