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은 지구에 큰 위협이 돼. 하지만 지구인들은 태양풍에 대해서 아직 모르는 게 많지. 그래서 새 탐사선의 두 번째 임무는 태양풍을 관측해서 지구에 닥칠 재난을 대비할 수 있게 도와 주는 거라고 해.지구에 빠르게 날아오는 태양풍코로나의 플라스마 입자들은 평소에도 끊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안녕~, 어과동 친구들!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갈라파고스 섬으로 여행을 갔다가 처음 보는 새를 발견했어. 다른 새와 달리 이 새는 몸집보다 훨씬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 또, 특이하게도 태양을 향해 날개를 양옆으로 펼치고 있더라고. 이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크~, 그동안 지구인들은 나를 관측하려고 눈물겨운 노력을 했군. 인정해. 하지만 아직 내 발 끝에도 다가오지 못했다고! 그런데 도대체 이번엔 어떤 탐사선이 얼마나 가까이 온다는 거야?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지난 5월 31일, NASA는 새로운 태양 탐사선 프로젝트를 발표했어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1996년 7월 5일, 영국에서 ‘돌리’라는 특별한 양이 태어났어요. 돌리는 세계 최초로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동물이에요.체세포는 난자나 정자 등 후손에게 전해지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를 말해요. 돌리는 6살 된 암컷 양의 체세포를 복제했기 때문에 이 양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흠…. 파커 솔라 프로브가 중요한 임무를 맡았군. 하지만 내 비밀을 알아내려면 일단 나에게 가까이 와야 할 걸! 나는 엄청 뜨겁다고~! 도대체 어떻게 나에게 온다는 거야? ◀ 탐사선의 열 보호막(위)과 태양 전지판 냉각 시스템(아래)을 조립하는 모습.7번 금성과 만나면서 태양에 더 가까이!파커 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전설의 탁구 고수 ‘사라생전 안징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둥, 둥, 둥둥둥~!”멀리서 북소리가 들려오는 이곳은 전설의 탁구대회가 열리는 섬, ‘지더라도’다.썰렁홈즈는 일 년에 딱 한 번 열리는 이 대회에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았다. 물안개가 걷히자 대회 주관자인 전설의 탁구 고수 ‘사라생전 안징겨’가 나타났다.“반칙이 없다는 게 이 대회의 규칙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경쾌한 음악이 흐르고 문이 열렸다. 커튼이 올라가고, 드디어 ‘그’가 모습을 드러냈다. 시작부터 종종걸음으로 뛰어나온다. 스무 발자국 쯤 갔을까. 걸음을 멈추자 터져 나오는 함성과 박수. 아, 드디어 보는구나. 실감이 나는 순간이다. 그간 몇 차례 일본 취재에서는 ‘아시모’와 연이 닿지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영화 속 성별 편향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미국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별 편향이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예진 미국 워싱턴대 폴앨런 컴퓨터과학및공학대 교수팀은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으로 영화 800여 편의 스크립트 속 언어를 분석하고 각 캐릭터에 얼마나 많은 힘과 정보가 제공되는지 정량화했다. 분석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물안전등급 4등급 실험실생물안전등급에 따라 위험한 미생물을 다루는 실험을 할 때는 감염을 막기 위한 장비가 갖춰진 실험실에서 진행해야 한다. 4등급에 포함되는 미생물은 사람이 감염되면 증세가 매우 심각하거나 치명적일 수 있고, 예방과 치료가 어려운 질병을 일으킨다. 북한이 보유한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논문 수를 늘리기 위해 하나의 연구 내용을 여러 개로 쪼개 서로 다른 저널에 투고하는 이른바 ‘논문 쪼개기’(#1), 자신의 기여도를 높여 조금이라도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연구에 참여한 사람의 이름을 고의로 삭제하며 발생하는 ‘유령저자’(#2), 자신이 썼던 논문 내용을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 ...
이전5755765775785795805815825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