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 0이 인류문명 바꿨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음양론이 있음을 알고 크게 감명받았다. 음양론이 곧 2진법이기 때문이며 그로부터 신의 존재 유무의 논리에 적용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하여 로마 황제에게 중국 황제를 기독교로 개종시킬 것을 건의하기까지 했다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Io) 궤도에는 입자 밀고가 다른 곳보다 1천배 정도 높은 플라스마가 도너츠 형태(Io torus)로 존재한다.플라스마는 전하를 가진 이온과 전자의 혼합 가스를 뜻한다. 이 지역 플라스마의 일부가 높은 에너지로 가속되어 자기장을 따라 목성 극지방으로 강하하여 오로라를 만들 것이라고 주장되었다. 그 ...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실제로 암환자에서는 가용형태의 종양괴사인자(TNF) 수용체가 혈액 내에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경우 암환자 치료를 위해 우선 가용형태의 수용체를 순환기내에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토킨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려면 세포표면 수용체의 표현 항진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 ...
- 화학 - 물질구성 입자단위 1몰 6×${10}^{23}$의 의미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많은 수의 원자나 분자수를 저울 하나 가지고 셀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이 참으로 지혜로운 존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좀더 1몰 크기를 실감나게 느끼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상적인 상황을 살펴보자. 만일 쌀 1몰을 우리나라 전국토에 균일한 두께로 깔 경우 어느 정도의 높이가 될까? 계산을 쉽게 하기 ...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알려져 왔지만 우리나라 전곡리 유적에서도 발견돼 아슐리안형의 문화가 아시아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호모 에렉투스는 동아시아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다윈이 진화론을 제창한 이후 인류의 조상을 발견하기 위한 탐사노력이 지속됐는데, 동남아시아에서는 다윈과 함께 ...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이탈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일까.소행성들이 반드시 화성과 목성사이에 존재하는 것만은 아니다. 목성과 태양의 인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는 트로이안 소행성군이 몰려 있고, 소행성대를 이탈해 태양으로부터 1AU(천문단위,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거리로 약 1억5천만㎞)까지 ...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통과할 수 있다. 양자역학적으로도 전자는 매질과 공간 어느 위치에도 동시에 존재할 수 없는 반면(페르미-디랙의 입자) 광자는 매질과 공간의 어느 위치에서도 공존, 또는 교차할 수 있는 성질이 있다(보제-아인슈타인의 입자). 또한 전자는 전자장의 간섭을 쉽게 받는 반면, 광자는 전자장 간섭을 ... ...
- 물리 - 놀라운 자기부상열차 운행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끊어보면 못은 다시 떨어져 나옵니다. 따라서 철심이 없어도 코일 주위에는 자장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 코일에 교류전기를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요? 교류전기를 연결한 코일 다발의 실패 속에 못을 넣어 책상 바닥에 잠깐 대보면 못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위 아래로) 것을 ... ...
- 터빈없는 발전기 MHD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힘들다. 그러나 '터빈 없는 발전기'라고 하면 그런대로 이해가 가능하다.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발전방식도 궁극적으로는 터빈을 돌려 그 힘을 이용해 전기를 만든다. 화력발전은 석탄과 가스를 태워 물을 증기로 만들고 증기의 힘을 이용해 터빈을 돌린다. 보일러와 터빈이 화력발전의 ... ...
- 최대규모 열수 플룸, 태평양 동쪽 바다서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산맥으로 새로운 해양저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장소. 동태평양 해팽은 수심 약 2천5백m에 존재한다. 멕시코 남서쪽으로부터 남극해역까지 서경 1백 10도 부근의 태평양을 남북으로 횡단하고 있다.이번 조사는 93년 11월23일부터 38일간 남위 10-20도 부근에서 시행됐다(지도내의 동그라미). 이 부근의 ... ...
이전5755765775785795805815825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