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형 화면에 잠시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 TV가 나온다. ‘뭐, 우리 집에 걸려있는 TV랑
큰
차이 없네…’ 하고 그냥 돌아서는 순간, 이게 웬걸? 얇아도 너무 얇다. 다시 보니 색감도 훨씬 선명해 보인다. 순간 눈에 들어온 문구. 55인치 OLED 3D TV. 나머진 다 알겠는데 OLED가 뭘까. 그러고 보니 ‘아몰레드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한 내용을 배우면서 필자는 재료공학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실제 재료공학의 가장
큰
장점은 필자의 손으로 직접 다양한 형태의 소자를 만들고 그 특성을 평가하며 제조 공정과 물성을 연관 지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서울대 ... ...
대입 전략, 고교 선택에서부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009개정교육과정이 적용돼 2013년이면 고교 모든 학년에 적용된다. 개정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종전 국민공통교육과정이 없어지고 모두 선택중심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고교별 교육과정 편성과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수업이 진행된다. 같은 일반고라도 학교에 ... ...
맥가이버는 영재학교 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문제를 찾아내고 또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수학과 과학을 학습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2013학년도 영재학교에서는 융합이라는 단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실제로 여러 학문 분야를 아우르고 이를 이용해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 인재들에게 필요한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5∼8월이지만 번식지에 모이는 것은 이른봄이다. 번식지는 대개 무인도 풀밭이며
큰
집단을 이루어 마른 풀로 둥지를 틀고 한번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8월 말경에 어린 새끼와 함께 번식지를 떠나 바다 생활에 들어가는데, 먹이는 물고기·곤충·물풀 등이다. 새끼는 3년쯤 자라서 어른새가 된다.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바퀴 사이에 걸렸다.당황하지 말자. 자, 앞바퀴의 회전력을 높여보자. 회전 반경이
큰
뒷바퀴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돼.침착하기만 하면 크게 문제될 것 없겠다. 하긴 이론적으로는 경사 45˚인 지면도 올라갈 정도니까. 물론 안전을 위해 경사 30˚까지만 움직이긴 하지만. 스피릿은 모래 구덩이에 바퀴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다리(엄밀히는 정강이와 발가락)에는 근육이 별로 없다. 사람 역시 엉덩이를 이루고 있는
큰
볼기근이 잘 발달해 달릴 때 몸이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잡아준다.말과 사람의 또 다른 공통점으로는 둘 다 땀을 흘려서 체온조절을 한다는 것. 포유류 가운데 땀을 많이 흘리는 건말과 사람뿐이다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여름몬순도 더 강해질 것이다. 우리는 화베이 평원을 중심으로 특히 7월에 대기순환에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다. 대기순환의 변화는 강수량의 변화를 유도한다.위의 그림은 기후모델 결과는 습기가 적은 6월에 강수량의 차이가 없지만 장마기간인 7월에 비가 훨씬 많이 오는 것을 보여준다.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는 부분이고, 어떤 지점부터가 과학으로 알 수 없는 부분일까.이번 힉스 기획에서도
큰
도움을 줬고 과학동아에 관련 기고도 두 번(2011년 6월과 2012년 4월) 했던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부 연구교수는 ‘본다’는 기준을 제시할 것 같다. 좀더 과학적으로 표현하면 ‘관찰’이다. 경험적으로 ... ...
검진이 끝? 해석까지 해야 제대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모를 용어와 함께 숫자만 바글바글하다. 비싼 돈 들여 검진을 받고도 결과표는 단지
큰
병이 있는지 없는지만 확인하는 용도로만 쓰인다. 하지만 숫자만 해석해도 자신의 건강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또 결과표! 지금부터 일상암호문해독서와 함께 건강검진결과표를 펴놓고 제대로 내 건강 상태를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