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점에 도달해서야 다시 얼음조각이 됐는데, 이곳이 훗날 지구형 행성과 가스형 행성을 구분하는 기준선(동결선)이 됐다. 온도에 따라 안과 밖으로 분리된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 10km에 이르는 미행성으로 자라났고, 미행성들은 다시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며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cm ... ...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정말 완벽히 풀린다면 우리 생활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영화 속 물결은 이제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워질 거고, 저 멀리 목성의 대반점이 어떻게 변할지 계산하는 것은 물론 은하의 흐름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속도를 올려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자동차나 난류에도 안정적인 비행기를 ... ...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게임입니다. 레이싱의 종류는 팀의 유무와 아이템 사용 여부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인전은 한 번에 최대 8명이 대결해 1등을 뽑는 경기고, 팀전은 두 팀으로 나눠 1등 한 플레이어가 속한 팀이 이기는 경기입니다. 아이템전에서는 레이싱 도중 얻은 아이템을 쓸 수 있지만,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동반 게임군(정신질환을 동반한 상태에서 게임을 즐기는 그룹)’ 127명 등 두 그룹으로 구분한 뒤 최근 3년간 행동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ADHD 동반 게임군은 자체 회복률이 0.17로 단순 게임군(0.49)에 비해 2배 이상 낮았다. 자체 회복률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게임 이용 시간이 정상 범주로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판단하는 절대적인 지표다. 그간 의학계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의 경계를 뇌의 생사로 구분하는 것도 이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인간과 가장 닮은 장기를 지닌 동물인 돼지의 뇌세포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심지어 이렇게 ‘부활’한 돼지의 뇌세포는 약 6시간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방향으로 9단, 8단, 7단의 순서로 기록됐고, 수평 방향으로 행을 나누는 선을 그어 각 단을 구분했습니다.또 현재와 다르게 9×9=81, 8×9=72, 7×9=63 같은 순서로 표기했고, 특히 8×9=9×8처럼 위에서 한 번 등장한 계산은 생략하는 효율적인 표기법을 도입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래 단계로 내려올수록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선택지는 남성 또는 여성밖에 없다. 항상 50 대 50의 확률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성별을 구분할 때 남녀의 뼈 크기와 모양의 차이를 이용하는데, 그중에서도 골반과 두개골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 중 정확도가 높은 건 골반이다. 두개골은 70~80%의 확률, 골반은 90~95%의 확률로 성별을 파악할 수 있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다. 반도체 칩은 역할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와 비(非)메모리 반도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메모리 반도체는 잘 알려진 것처럼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장치다. 전원을 껐을 때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있는지 날아가 버리는지에 따라 D램(또는 S램), 플래시 메모리로 나뉜다. 시스템반도체는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도브시 교수팀은 이런 식으로 6개의 그림 중에서 고흐의 작품 5개와 위작 1개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김대경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응용수학과 교수는 “고흐의 여러 작품을 인공지능에 학습시킨 뒤 새로운 그림을 입력해서 위작인지 아닌지를 가려내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발견돼요. 이런 발굴조사는 ‘구제발굴’과 ‘학술발굴’로 구분해요. 구제발굴이란 건물이나 도로를 건설하기 전 땅속에 유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발굴하는 것을 뜻해요. 한편,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지역을 조사하는 경우를 학술발굴이라고 하죠. 가령 고구려와 백제가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