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뇌
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논문에서 “씹는 횟수가 줄어든 것만으로 인류의 조상은 이와 턱의 크기를 줄여
뇌
가 자랄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안면부는 지금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979~2015년 총 7차례에 걸쳐 한국인의 인체 치수를 조사했다. 키와 몸무게뿐만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물론 피질에 있는 일부 뉴런들도 활성화됐다. 이는 기억이라는 작용이 해마뿐 아니라
뇌
의 전 영역에 걸쳐 있다는 뜻이다. 프랭클랜드 교수는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성인이 되면 어릴 때 기억이 ‘잠겨’ 있지만 심리적 요법으로 다시 회복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 ...
[Culture] 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기억은 서로 연관돼있다”며 “특히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일반 기억과 달리
뇌
에서 특별하게 취급한다”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류 책임연구원은 “미각은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 인체를 보호하려는 생존 기능”이라며 “쓴맛 등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일반 ... ...
[Tech] ‘선 없는 세상’ 의 마지막 퍼즐 무선 이어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한다. 좌우로 이어폰을 착용하면 두 유닛 사이에 머리가 위치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뇌
는 약 80%가 물로 이뤄진, 인체에서도 수분이 많은 부위다. 수분이 많고 두꺼운 머리라는 장벽이 전파를 가로막는 것이다. 이 때문에 무선 이어폰 사용자들은 소리가 간헐적으로 끊어지는 현상을 종종 경험한다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심장박동수 데이터를 더하면 운전자의 다양한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며 “심전도나
뇌
파까지 추가하면 더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운전 불가 판단 시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안전지대로 이동하는 ‘DDREM’ 기술을 개발해 2018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 ...
[Culture] 강아지가 무서워해서 산책을 못 나가요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균형 맞추는 약물 치료다행히 범불안장애는 치료할 수 있다. 심각한 불안장애는
뇌
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부족이나 불균형으로 나타나는 증상인 만큼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그리고 무섭지 않을 정도의 작은 자극을 조금씩 경험하게 하는 행동치료도 도움이 된다. 오늘 한 반려견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먹으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했어요. 이들은 단백질과 지방을 높게 섭취한 덕분에
뇌
의 용량과 몸집이 점점 커지게 됐답니다. 이후 여러 종의 인류가 경쟁하며 함께 살았어요. 이 중에는 ‘네안데르탈인’으로 유명한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도 있었지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전자간증은 조산의 원인이 되고,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산모의 장기가 파열되거나
뇌
출혈로 이어집니다. 전자간증 환자들의 태반은 정상산모의 그것과 다릅니다(오른쪽 그림). 태반은 엄마의 혈액 속 산소와 영양분이 태아의 혈액으로 전해지도록 만들어진 구조입니다. 정상적인 산모의 경우, ... ...
[과학뉴스] 전자현미경으로 그린 3D 초파리
뇌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미국 연구팀이 초파리
뇌
에서 뉴런 사이의 연결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정밀한 3차원(3D) 지도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셀’ 7월 19일자 ... “
뇌
는 전체를 이해할 때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수년 내 완벽한 초파리
뇌
지도가 완성될 것”이라고 기대했다.doi:10.1016/j.cell.2018.06.0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변환하는 것이다. 장 교수는 “사람은 감각 수용체로 인식한 물리 신호를 신경을 통해
뇌
로 보내 인지한 뒤 이를 ‘아프다’ ‘뜨겁다’ 등으로 느낀다”며 “전자피부의 경우 센서가 온도, 압력 등 물리적인 값을 측정한 뒤 이를 컴퓨터 연산으로 해석해 ‘아프다’ ‘뜨겁다’ 등 고통 신호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