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독자"(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윤리 문제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사이언스 보드 홈페이지를 통해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떤 기술과 윤리 문제에 관심이 있는지 미리 조사해 봤는데요. 크게 4가지 주제였습니다. 첫 번째 주제부터 시작해볼까요.2016년 개봉한 ‘인페르노’라는 영화를 보면, 첨단 용기에 바이러스가 담겨 ... ...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진학에 성공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인터뷰해 싣습니다. 과학동아를 읽는 청소년 독자들이 진로 설계에 더 많은 정보와 팁을 얻기를 바랍니다. ) 꿈은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다. 영재학교에 가고 싶다는 꿈도 그랬다. 친한 선배로부터 우연히 과학에 특화된 학교가 있다는 걸 듣고 관심이 생겼다. ...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분야를 개척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미래의 노벨상 수상자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도 항상 큰 꿈을 가지고 도전하라고 조언하고 싶다. 만약 다우드나 교수가 기존 연구 분야에만 집중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을 두려워했다면 크리스퍼-캐스9를 만든 위대한 연구는 다른 이들의 ...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전 국민 모두 면역력 높이기에 한창이다. 시중에 유산균 관련 제품이 쏟아지는 가운데, 독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위해 유산균에 관한 궁금증을 모아봤다. ● 궁금증1 유산균, 왜 필요할까?→ 우리 몸을 지키는 1.5kg엄마 코알라는 새끼가 젖을 떼면 아주 특별한 이유식을 먹인다. 바로 자신의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같은 팀이 된 이상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창업에 관심있는 독자가 이 글을 읽고 있다면 꼭 기억하길 바란다.)현재 우리의 목표는 리플라 프로젝트를 통해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그중에는 실습 시간에 배우지 않은 기능을 활용한 분석도 있었죠. 수학동아 독자들의 뜨거운 열정과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결과물이었습니다. 자, 그럼 데이터 요리쇼 참가자들의 분석 결과와 소감을 소개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온라인 클래스에도 많은 관심 가져 주세요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과학동아는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독자들이 이런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과 함께 ‘궁극의 질문’ 공모전을 시작했습니다. 노벨상이 될 만큼 독창적인 질문, 인류 복지에 기여할 질문이 떠올랐다면, 지금 바로 ... ...
- 정답 누설 수학 퀴즈쇼! 만능 수학 문제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채우기 문제의 활약이 대단하죠? 그런데 이 문제를 활용해 재밌는 연구를 한 수학동아 독자가 있습니다. 연구 결과가 수학자의 결과와 상반돼 더욱 의미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강민지 봉림중학교 3학년 학생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학생들이 교실에서 2m 간격을 유지하면서 ...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개념으로 ‘수학에 등장하는 모든 개체가 결국은 집합’이라는 그들의 아이디어가 독자에게 새로운 수학적 사고를 깨워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에게 이토록 열정적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이유를 물었다. “재밌어서”라는 간단한 답이 돌아왔다. 그는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대화를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번 영화에서 시간과 평행 세계를 이야기했다. ‘테넷’을 정복하고 싶은 과학동아 독자들을 위해 KAIST 시간역행반사연구단 연구원이 직접 해설에 나섰다. ※ 편집자주본문은 해당 작품의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스포일러를 피하고 싶다면 먼저 작품을 관람하기를 권합니다. 테넷은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