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계"(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과학동아 l2007년 11호
- 렘수면기 동안 핏속에 잠복한 외계생명체가 증식하는 것. 공교롭게도 캐럴 역시 외계생명체에 감염된 상태라 잠시라도 잠들면 렘수면을 거치며 신인류로 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렘수면이란 ‘Rapid Eye Movement’, 즉 자는 동안에도 안구가 빠르게 움직이는 수면기를 의미한다. 보통의 잠은 ...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안드로메다은하는 가장 가까운 ‘이웃’안드로메다은하가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에서 외계인과 관련된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북반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밝고 큰 은하기 때문이다.3000억 개가 넘는 별로 이뤄진 대형은하인 안드로메다은하는 밝기가 5등급이라 어두운 곳에 가면 가을철 ...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과학동아 l2007년 11호
- 불활성 상태로 존재한다 이것이 과잉으로 유리되면 알레르기증상을 나타낸다 이것은 외계로부터의 이물에 대해IgE항체가 생겨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에서 대량의 히스타민을유리시키기 때문이다 부패한 물고기 등에는 이 기능을 증강시키는 상승인자로서 아그마틴, 콜린, 트리메틸아민옥사이드, ...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물질을 강력한 자석 위에 놓으면 물질 내부에 반자성이 생겨 그 물질이 공중에 뜨게 된다외계로부터 무기물만을 섭취, 이것을 동화하여 몸을 형성하고 생활을 영위해가는 영양법어떤 원소의 동위원소 중에서 방사능을 지니고 있는 것 이 원소들은 각각 다른 붕괴방식을 지니고 있으며, 특유한 ... ...
- 지구 닮은 슈퍼지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크고 기온도 낮아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기자 : 앞으로 이 행성에서 외계인을 만날 수도 있겠죠?행성 : 그건…. 저는 지구에서 너무 멀어요. 20.5광년이나 떨어져 있거든요. 빛이 20년 6개월 동안 가는 거리죠. 그래도 빛으로 통신을 주고받으면 40년 만에 답장을 받을 수 있어요 ...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너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슈퍼맨은 어릴 적에는 자신이 크립톤 행성에서 온 외계인으로 보통 인간보다 월등히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그게 왜 문제냐고요?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슈퍼맨처럼 뛰어난 인물은 다른 사람을 ...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가야지. 끼요옷! 명태가 없다고? 2080년 한국의 바다에는 어떤 일이 일어난 거지? 으아악! 외계인보다 이상한 초대형 해파리들이 바다에 둥둥 떠다니고 있어!후덥지근 한반도한국의 평균 기온은 2007년보다 5℃ 이상 오른다. 한국은 원래 사계절이 뚜렷했다. 하지만 2080년에는 산악 지역을 뺀 서울과 ...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서로의 철학을 즐길 수 있을 뿐이다. 그렇더라도 언젠가 중성자별에 사는 ‘작은 초록 외계인’이 진짜 문명의 신호를 보내왔으면 좋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아인슈타인의 중력파 비밀 여는 우주열쇠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PART2 양자역학과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비밀 여는 우주열쇠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신호가 지구를 찾아온다. 우주가 살아있다는 신호일까. 발견 초기엔 ‘작은 초록 외계인’으로 오해받기도 했던 펄서는 이제 양자역학과 상대론을 검증하는 우주실험실로 떠오르고 있다. 발견 40주년을 맞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의 열쇠를 쥐고 있는 펄서와 함께 놀라운 우주여행을 떠나보자 ...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과학동아 l2007년 09호
- 10만톤 넣는다? 펄서(pulsar)는 ‘맥동하는 별’(pulsating star)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외계인이 만들어낸 인공 신호로 착각할 정도로 우주전파가 규칙적으로 ‘맥동’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밀하게 펄서는 수축과 팽창을 하지 않기에 잘못된 명칭이다. 대신 펄서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면서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