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기"(으)로 총 2,03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IQ를 추적한 결과가 발표됐다. 그 결과를 보면, 70년대 중반부터 IQ의 증가 추세가 주춤해지기 시작했고, 90년대 말부터는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2005년에는 덴마크의 조사 결과가 발표됐는데, 역시 1950년대 후반부터 상승세가 꺾여 90년대 후반부터 하락했다. 영국과 스웨덴 역시 2000년대들어 정체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물건을 정확히 잡기도 어려워진다. 이런 현상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종종 물건을 잡으려다 헛손질을 해 주변 사람을 웃기곤 했다. 물론 다 지나간 추억이다.이런 몇 달간의 여행을 마치고 드디어 화성에 도착했을 때가 기억난다. 불편한 멀미와 착시에서 벗어났다고 ...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상을 주는 게 일반적이다. 계속해서 비슷한 시상이 이어지다 보면 얼른 집에 가고 싶어지기도 한다. 이런 기존의 시상식과 달리, 대담회와 명사 강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특별한 ‘시상 축제’가 있다. 바로 ‘청심ACG대회 시상제’다. 시상제가 끝날 때까지 수상 학생과 학부모 등 40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줌색이 무척 진하다면 탈수일 확률이 높다. 오줌의 색은 노폐물 농도가 높을수록 진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몸속의 물이 부족해 노폐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몸에 물이 충분해서 노폐물이 원활하게 배출되고 있다면 오줌은 레몬색을 띤다.성장을 방해하는 맛있는 음료그래도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결합법칙을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vivj곱에 의해서 나머지 임의의 원소의 곱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복소수를 a+bi꼴로 쓰면 i²= -1과 분배법칙에 의해서 복소수의 곱셈이 완전히 결정되는 것도 한 예다.지난달 설명한 공간의 그라스만 수 체계는 3차원의 경우에 서로 직각인 3개의 벡터 E₁, E₂, E₃를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적어 ‘후라이드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름에 튀기면 근육만 남아 고무처럼 질겨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래 삶아서 먹는 백숙에는 제격이다. 1950년대 전까지 한국 사람들에게 닭은 ‘삶아서 먹는 것’이였다.재래닭은 살아가는 모습도 특색 있다. 몸이 가볍고 날개가 강하다보니 잘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제한하고 있던 저작근육은 작아졌다. 이제 인류는, 머리가 커지고 대신 얼굴이 작아지기 시작했다.호모 속에 속하는 첫 번째 화석종인 호모 하빌리스 (위 사진)와 호모 루돌펜시스 역시 이 경로를 따랐다. 우선 두뇌가 커졌고, 그에 따라 얼굴이 상대적으로 작 아졌다. 강한 저작근육에 의존하던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따라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얼마나 단순한가! 비록 우주의 개수가 무한히 많아지기는 해도 말이다.현대 물리학은 허무한가2013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한 양자물리학회에서 3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했다. 지지하는 양자해석이 무엇이냐고 물었는데, 코펜하겐 해석 42%, 정보이론 해석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비로소 나와 결별할 수 있다. 그 때에야 나와 다른 별(AC +79 3888, 일명 글리제 445)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 별의 품에 드는 것도 아니다. 우주는 성기기 때문에, 보이저는 항해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영원히 은하수 안을 떠돌 것이다.1000~10만AU의 영역은 ‘오르트 구름’이라고 불린다. ...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뜨거운 목성은 위성을 갖기도 어렵다. 위성이 클수록 중심별의 조석력에 의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소행성 크기의 위성만 보유할 수 있다. 우리 태양계의 목성은 4개의 거대한 갈릴레오 위성을 비롯해 수십 개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지만 ‘뜨거운 목성’은 가족 구성조차도 중심별의 눈치를 봐야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