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스페셜
"
구조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중립 구현할 39개 중점기술에서 소형모듈원자로·핵융합 빠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석유화학 등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제조업 비중이 80%를 넘어 탄소중립에 불리한 산업
구조
를 보유하고 있다. 40%로 높은 화력발전 비중과 14.3%로 낮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비중도 에너지믹스 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영국은 화력발전 비중이 2%,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비중이 45.2%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2021 온라인 기술이전 설명회 14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중화항체 기반 망막재생 촉진 기술, 유지환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의 매몰자를 탐지하고
구조
하는 바인 로봇 기술 등 총 9개 기술이 소개된다. 기술이전에 관심있는 기업은 홈페이지(https://techfair.kaist.ac.kr)에서 7일까지 참가신청하면 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주상훈 화학과 교수와 김형준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강태규 서울대 IBS 나노입자 연구단 박사후연구원은 “합성 고분자 나노 전달체는
구조
와 크기, 이온화 특성, 자극 반응성 약물 방출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RNA 백신용으로는 음전하를 띠는 mRNA가 잘 붙도록 양전하를 띠는 고분자인 폴리아르기닌과 폴리라이신으로 많이 ... ...
[팩트체크]립밤이 코로나 확산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않은채 잘못된 뉴스가 생산되고 일부 언론사를 통해 검증되지 않은 채 확산되는
구조
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감염병을 연구하는 최영준 고려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립밤을 입술에 바르면 코로나19 전파를 막을 수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었다"며 "설사 관련 ... ...
'해바라기 꽃가루' 이용해 3D프린터로 의료 소재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연구결과가환경 친화적이고 저렴하며 독성이 없는 재료로약물 전달을 위한 맞춤형
구조
체를 3D프린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조남준∙송주하 싱가포르 난양공대 재료과학공학과 교수와 장태식 조선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 싱가포르 난양공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분자 입체
구조
찾는 신개념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연구진은 논문에서 “AI에 RNA 분자 18개만 학습시켰을 뿐인데도 미지의 RNA 분자
구조
를 정확히 모델링했다”며 “심층 신경망과 같은 기존 AI의 근본적인 한계를 뛰어넘는 알고리즘”이라고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연구 성과의 이런 의미를 부각하기 위해 체스판을 연상하는 2차원 격자 무늬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단백질 전체로 분석 대상 넓히는 인공지능 3D
구조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8.28
지금까지 알려진 2억개에 이르는 단백질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1억 3000만 개의 단백질
구조
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에디트 허드 EMBL 사무총장은 "알파폴드는 과학계에서 구축한 공개 데이터를 사용해 훈련해 예측 또한 공개되는게 합리적"이라며 "알파폴드 데이터베이스는 개방형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취하거나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굳이 대도시에 살려는 사람이 줄지 않을까. 도시 공간
구조
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다. 일단 아무리 자율주행 시대가 된다고 해도 이동 자체가 즐거워지는 것은 아니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 그 시간에 쉬는 게 더 좋지 굳이 멀리 살면서 이동을 할까. 이미 한국은 ... ...
D-60, 15년 미뤄진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 마침내 발사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6.5m의 거대한 거울도 펼친다. 거울은 지름 1.32m인 육각형 거울 18개를 이어 붙인 독특한
구조
로 JWST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인 것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오는 희미한 빛을 최대한 끌어 모아 관측 능력을 최대치로 올리기 위해서다. NASA는 내년 7월 JWST의 첫 번째 관측 ... ...
AI 챗봇 데이터에서 혐오표현 탐지하는 기술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있다. 대화 시나리오나 서술형 글 등 텍스트와 관련한 윤리성 검증과 비도덕적인 텍스트
구조
를 찾는 데 주력중이다. IBS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은 이 과정에서 기계학습과 AI를 기반으로 온라인 데이터 속 혐오표현을 탐지하는 분석도구를 개발하기로 했다. 최정회 심심이 대표는 “AI 챗봇은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