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스페셜
"
기억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읽다가 문득 수년 전 과학동아 기자를 할 때 줄기세포 특집기사에서 인공혈액을 다룬
기억
이 떠올랐다. 당시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인공혈액이 십년 안에 상용화돼 수혈이 추억 속의 풍경이 될 거라는 예측을 한 것 같다. 찾아보니 ‘과학동아’ 2010년 2월호에 실린 특집의 1파트 ‘실명도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일반적인 실내 공기 곰팡이인 검은 곰팡이(Stachybotrys chartarum)에 노출된 쥐의 뇌에 염증과
기억
상실, 불안과 두려움이 증폭됐습니다. ▲ 이 연구는 아직 진행 중으로, 연구팀은 귀신이 자주 출몰한다는 미국 뉴욕 오그덴스버그의 프레드릭 레밍턴 미술관, 뉴욕 박물관 등의 공기 품질을 측정할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
2017.10.28
데에 정당한 이유 같은 건 애초에 성립하지 않지만 어떤 이유로 그렇게 때린 것인지
기억
조차 나지 않는다. 아마 교실이 소란스러웠던 것? 시험을 잘 못 봤던 것? 고등학교 때 한 교사는 한자 1800자를 외우지 못했다고 (테스트도 정말 이상해서 1800자 중 어떤 글자를 보여주고 3초 안에 무슨 글자인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회사 연구소에서 일할 때 화장품 가격이 원가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은
기억
이 난다. 그나마 용기(case)는 저가제품과 고가제품에서 제작 단가 차이가 꽤 나지만 내용물(원료)은 정말 거기서거기다. 물론 고가 화장품에 유효성분이 몇 가지 더 들어가지만 워낙 병아리 눈물 만큼이라(많이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감정은 억누르면 억누를수록 계속해서 고개를 들며 우리 안에 머무르게 된다는 것을
기억
하자. 감정이란 본래 물흐르듯 흘러가는 것이라서 흐르도록 허락하면 잠시 머물렀다가 자연스럽게 지나가게 된다는 것도. 하지만 말처럼 쉽게 되는 것은 아니어서 나 역시 노력 중이다. ‘요즘 스트레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적기 위해서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메모하면 되지….’라고 생각했다가 제대로
기억
을 못해 안타까웠던 일을 몇 차례 겪으며 만든 습관이란다. 이렇게까지는 못해도 신문이나 책을 읽다가 멋진 구절을 발견하거나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메모를 하거나 스크랩(또는 휴대전화 촬영)을 해야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바쁘게 살다보면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오늘 뭘 먹고 누구를 만났고 뭘 했는지조차 잘
기억
이 안 날 정도로 정신이 없다. 나 역시 한창 바쁠 때는 원고를 썼는지, 오늘 썼는지 아님 어제였는지가 헷갈리고 누구를 만나서 이야기를 하더라도 혼자 ‘아 그거 빨리 해야 되는데.. 저건 뭐였더라..’ 하고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결국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제 경험 못지 않게 그 전의 준비 과정과 후의
기억
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행복은 ‘과정’에 있다는 말처럼 전과 후의 과정 하나하나를 즐길 줄 아는 능력이 행복을 최대화하는 습관이 되어줄 것이다. ※ 참고문헌 Gilbert, D. T., Pinel, 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대시를 해야지 연애를 하든 말든 하죠...”라는 취지의 말을 하며 씁쓰레 하던 표정이
기억
난다. 남자는 모험심이 강하고 위험을 무릅쓰는 경향이 큰 반면(마음에 드는 짝을 차지하려는 동기에서 진화한 마음) 여자는 조심스럽고 겁이 많다는 것도 막상 근거가 약하다. 즉 위험을 무릅쓰려는 경향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입증한 연구결과가 2012년 ‘사이언스’에 실리면서 지금은 비소박테리아가 해프닝으로
기억
되고 있다(그럼에도 ‘사이언스’는 비소박테리아 논문을 철회하지는 않았다). 당시 필자는 비소박테리아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이번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