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파산
잘못
과실
착오
실패작
스페셜
"
실패
"(으)로 총 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
2017.10.14
부족함을 가지고 있으며 누구나 여러번 실수하고
실패
한다. 나 또한 얼마든지 실수하고
실패
할 수 있다. 쉬워보이는 삶은 있을지 몰라도 정말 쉬운 삶은 없다. 내 삶 또한 쉽지만은 않은 게 당연하다. 사랑받는 것 또한 당연한 것은 아니다.’같이 삶과 자기 자신에 대해 다소 현실적인 생각을 갖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드레버는 웨버의 바(bar) 검출기보다 감도가 높은 버전을 만들었지만 중력파 검출에
실패
했고 1970년대 초 이 방법으로는 희망이 없다고 선언했다. 이 무렵 MIT의 바이스 교수는 레이저 간섭계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었고 드레버 역시 이쪽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독일 연구자들과 레이저의 품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노력을 안 하거나 재능이 없다고 생각해 시도조차 안 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함께 숱한
실패
에도 좌절하지 않고 이를 자양분으로 삼아 꾸준히 노력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 그런 경우다. 농구에 별 취미가 업는 필자는 당연히 마이클 조던은 타고난 농구선수라고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보였던 일더미가 다시 보니 그렇게 크지 않았다는 깨달음이 오기도 하고 엄청 중요해서
실패
하면 인생이 끝장날 것만 같았던 일 또한 실은 그렇게까지 중요하지 않았다는 깨달음이 오기도 한다. 또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평소 잠깐 멈추고 마음을 정리해 버릇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열을 느끼고 촉각이 습기를 느끼면서 후텁지근하다는 느낌을 받고 이는 체온조절의
실패
위험성을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뇌는 불쾌하다고 해석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나에게 이런 일이!!’
실패
역시 남들은 다 실수하고
실패
할 수 있어도 ‘나만은’ 절대
실패
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따지고 보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안 좋은 일이 오직 나만은 빗겨나야 하는, 나만은 운명이나 세상으로부터 특별대우를 받아야 할 정당한 이유가 있을까? 하지만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
2017.07.01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어떤 태도가 더 적응적일까? 이렇게 자신의 부족함이나
실패
에 대해 ‘그럴 수도 있지’라고 너그럽게 받아들일 줄 아는 것은 본인의 정신건강과 발전을 위해서뿐 아니라 ‘타인’의 행복, 나아가 따듯한 사회를 만드는데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한다. 긍정심리학지(Th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식욕은 충족되지 못할 때 견디기 어려운 충동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한 다이어트는
실패
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몇몇 과학자들은 허기와 식욕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주목하고 있고 식습관에 따라 이런 충동의 강도가 꽤 변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즉 충동을 억누르는 의지력에 의존할게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1950년대 면역관용이론을 제안해 196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버닛은 면역관용의
실패
의 결과인 자가면역질환 분야도 개척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지카바이러스와 길랭-바레증후군 실망스럽게도 이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다만 원인이 매우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밝혀지면서 큰 논란이 됐다. 리처드 해리스는 잘못된 세포와 항체를 쓴 게 논문 재현성
실패
원인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추측했다. 한편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문제가 많다고 한다. 빅데이터 시대임에도 여전히 생물학 연구자들 다수가 수학과 통계학에 무지하다보니 초보적인 실수를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