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마시고 날씬해진 페트병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자들의 고리
모양
구조가 움직여 간격이 좁아지면서
모양
이 쪼그라드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고리와 고리 사이에 강한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런 종류는 가열하면 그대로 온도가 올라가므로 타버린다.뚝딱 실험 2 고슴도치 페트병■ 왜 그럴까?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않고 굴러갈 때, 구르는 원의 원주 위의 한 점이 그리는 성형(星形) 곡선[그림]사방기둥
모양
결정, 뜨거운 물에 녹지만 알코올,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백합과 식물인 아스파라가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5호의 우주인이 지구로 돌아오는데 사용한 ‘귀환캡슐’은 러시아의 소유즈 귀환캡슐과
모양
이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크기는 13%가 더 크며, 최대 3인이 탑승할 수 있다. 소유즈와 동일한 낙하산과 착륙 역추진 장비를 갖추고 있다.서비스 모듈에는 비행전자장비, 우주선의 궤도변경과 지구 재돌입을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겨우 알 수 있을 정도로 둥근 형태이다. 지붕의 기울기도 약30°정도로 상당히 완만한 지붕
모양
을 하고 있어서 거세게 부는 바람의 힘을 가능한 한 적게 받으며 바람이 자연스럽게 흘러 빠져 나갈 수 있다.또하나 흥미로운 점은 돌담과 초가지붕의 위치다. 제주민가는 돌담과 초가 사이에 빈 공간이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태워 난방몽골 유목민족의 전통적인 주거형태는 게르(Ger). 원기둥
모양
의 건물에 원뿔
모양
의 지붕을 얹었다.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가죽으로 둘렀다. 게르 안에 모인 취재팀은 전등에 불이 켜지자 일제히 환호했다. 발전시스템이 가동되기 전 밤에는 게르 안보다 밖이 달빛이 있어 오히려 밝았다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각막을 통과한 자외선이 망막을 손상시키면 광선 망막증이 생긴다. 이때는 사물의
모양
이 변형돼 보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보이지 않는 암점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실명할 가능성도 있다. 눈이 쌓인 곳에서 선글라스를 쓰지 않고 오랜 시간 다니다 실명하는 경우가 그 예다. 광선 망막증은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번져갔다. 이때 총 1천만명 가량의 사용자가 메신저 대화명 앞에 리본(▶◀)이나 삼베(▦)
모양
을 달며 캠페인에 참여했다. 메신저가 단순히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여론을 형성하고 표출하는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다.2002년 8월 나라리서치에서 우리나라 ... ...
뇌 단백질 구조에 따라 기억력 차이나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수용체를 가진 70명과 5-HT2a 히스타민 수용체를 가진 2백79명에게 5개 단어 또는 간단한
모양
을 보여주고, 5분 후 이들이 얼마나 기억해내는지를 비교했다. 그 결과 티라민 그룹의 기억력이 약 2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수용체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중 하나가 다르기 때문에 단기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각각 정6면체와 정20면체로 묘사됐다. 특히 그는 제5원소로 불린 하늘을 뜻하는 기하학적
모양
으로 최근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정12면체를 상상했다. 그에게 정12면체는 우주를 표현할 수 있는 완벽한 형태였던 것이다.플라톤 이후 여러 수학자와 철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하학적 우주’를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나선은하다. 은하 원반 전체를 볼 수 있다면 여러개의 나선팔이 바람개비처럼 돌아가는
모양
이겠지만, 솜브레로는 원반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경우다. 원반의 가장자리는 모자의 챙처럼 보인다. 어두운 띠가 있어 더 그럴싸하다. 은하 원반에 모여 있는 성간먼지가 뒤쪽의 빛을 가리기 때문에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