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병
병환
병고
우환
뉴스
"
질환
"(으)로 총 6,19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일 요거트 28g 먹으면 당뇨 위험 18% 감소
2014.11.25
효과가 있다고 24일 밝혔다. 2형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3억6600만 명이 앓고 있는 만성
질환
이다. 가족력이 있거나 과식과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경우 쉽게 발생한다. 국내 환자 수도 300만 명이 넘는다. 뮤 챈 박사팀은 의료 전문가들의 생활 습관과 ... ...
심장
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전송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박 교수는 “기존 대비 경제적인 비용으로 심혈관
질환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상용화까지 3년 정도 걸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사망률이 46%나 더 높다고 한다. 또 하루의 절반 이상을 앉아 보내는 사람은 당뇨나 심혈관
질환
에 걸릴 가능성이 두 배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레바인 교수는 원래 비만 전문가였는데 비만인 사람들과 마른 사람들의 생활 패턴을 비교하다가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뚱뚱한 사람들이 마른 사람들에 비해 ... ...
말(馬)이 호흡기
질환
안 걸리게 하려면?
2014.11.19
연구진은 몽골 현지에서 말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현재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말 인플루엔자(H3N8)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백신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송대섭 선임연구원와 정대균 책임연구원 ... ...
신경세포끼리 이어주는 접착제 발견
2014.11.18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벨크로'처럼 연결하는 시냅스접착단백질의 구조가 밝혀졌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경세포 ... 함께 찾아냈다. 김 교수는 “시냅스접착단백질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뇌
질환
의 발병기전 이해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사회적인 낙인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고 말한다. 난치성
질환
인 암의 경우 지난 수십 년간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인 규명은 물론 치료법도 많이 발전했다. 반면 우울증의 경우 아직까지 왜 생기는지,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연구팀이 개발한 신경 자극 기술을 표현한 학술지 '스몰'의 10월 15일자 표지. - Small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이용해 신경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간질이나 파킨슨병 같은 뇌신경계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전상범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왔는지 밝혀내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보여 인간에게 적용하면 불면증 같은 수면
질환
치료에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준 광주과기대(G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최준호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암컷 초파리의 성행동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던 단백질수용체가 수면 ... ...
면역
질환
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치료기술 ▲광유전학기술이 꼽혔다.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면역
질환
치료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각종 신약 개발에 유용한 광유전학기술을 선정해 질병없는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도다. ‘스마트한 사회’를 이끌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은 ▲생체모방로봇 ▲ 학습분석기술이 꼽혔다. ... ...
희귀난치성
질환
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
에 걸린 환자에게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PTPN11)를 생쥐에게 적용해 이 돌연변이가 학습과 기억장애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생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PTPN11에 돌연변이를 일으키게 했더니 길을 잘 찾지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