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12
하드로사우루스 등 귀중한 화석을 본지에 공개했다. 그는 “기사가 나간 당시 고등학교
1
학년이었던 한 학생이 연구실까지 찾아오기도 했다”며 “특집 기사가 한반도의 공룡을 새롭게 조명하고 대중의 관심을 모으는 큰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코리아노사우루스는 길이가 약 2.4m인 소형 조각류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12
흐름을 만드는 능력이 뛰어난 투명하고 얇은 필름을 만들었다고 저널 ‘재료화학’
11
월
1
일자에 발표했다.이 물질은 전기가 흐르는 플라스틱인 반도체 폴리머와 탄소가 풍부한 풀러렌을 결합한 것. 폴리머는 광자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뿐 아니라 값이 싸서 태양전지를 만들려는 과학자들이 탐내온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12
항공우주산업이 제작해 KAIST 인공위성센터가 보관 중이다.연구센터가 개량할 검증위성은
1
년 이상 상공에 머물며 임무를 맡을 예정이다. 검증위성에는 우주의 전자 밀도를 측정하는 ‘랭뮤어탐침’, 우주 궤도상의 누적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우주방사선량 측정센서’가 실린다. 그리고 ‘반도체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12
기상과학기자상 수상자는 각각 상패와 상금 500만 원을 받는다. 시상식은
11
월 26일 한국과학기자협회 주최로 열리는 ‘20
1
0과학언론인의 밤’ 행사에서 열렸다. 이 상은 미국계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후원을 받아 시행한다.한편 과학기자협회는 과학대중화에 기여한 홍보 전문가에게 주는 ... ...
1
99
1
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12
“이는 성적 취향이 생물학적 기반을 가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가
1
99
1
년 8월 30일자 ‘사이언스’에 발표되자 언론은 대서특필했고 “나는 동성애자로 태어났다”고 주장해온 많은 동성애자들은 이 결과를 환영했다.동성애 유전자는 아직 못 찾아그럼 도대체 무엇이 이런 차이를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12
내도록 말야.”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 내신 성적을 3~4등급으로 끌어올린다. 수학, 과학은
1
등급을 목표로 한다. 2.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꾸준히 연습하는 계획을 세운다. 자격증에도 도전한다. 3. 컴퓨터와 연관된 봉사활동을 기획한다. 친구들과 그룹을 만들어서 함께 하는 봉사회를 운영한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12
말한다. 모혜정 교수는 정통 물리학과 새로운 신 과학기술이 결합하고 융합하는 새로운 2
1
세기 패러다임을 이미 50년 전에 내다봤다. 물리학과 금융수학이 결합하고, 물리학과 해양생물학이 융합하는 새로운 분야들이 얼마든지 탄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분야의 선구자로서 길을 개척한다면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12
돌(zeolit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제올라이트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1
μm2의 면적에
1
nm의 구멍이
1
00만 개나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를 가열했을 때 수증기가 생긴 것은 이 구멍 속에 물이 채워져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올라이트를 만들 수 있으며 그 활용도 또한 매우 ... ...
바둑돌 채우기
과학동아
l
201012
4개가 이어져서는 안 됩니다. A 이달의 퍼즐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1
2월
1
5일까지 ‘도전!
1
% 클래스’에 대한 독자평과 함께 정답,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6분을 선정해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 호 당첨자 명단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12
수 있고, 간단한 대화도 나눌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보편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1
0년 뒤 대변혁기 온다”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 어떻게 될까. 사람의 수준을 넘어설 수는 있지만 똑같은 능력을 가질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접근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양현승 교수는 새와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