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심장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많다고 배교수는 말한다.현재 엔진실험실은 배충식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
후 연구원 3명,
박사
과정생 9명, 석사과정생 6명, 그리고 기술원 1명으로 구성돼 있다 ... ...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밝혔다.테일야칸
박사
(49)는 인도출신으로 렌슬래르 폴리테크닉 대(RPI) 핵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번에 논문을 같이 발표한 레이 교수가 당시 지도교수였다. 졸업 후에는 웨스팅하우스사에서 근무하다가 10여년 전 오크 리지 국립연구소로 옮겼다.다음은 인터뷰 내용.사이언스 논문 발표 후 ... ...
과기부장관 인터뷰 이공계 진학 지금이 기회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말문을 열었다. 지난 1월 과학기술부 장관에 임명된 채장관은 독일 뮌헨대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965년부터 국내외 화학 관련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에 젊음을 바친 그야말로 ‘과학기술계의 원로’다. 그 역시 과학기술인의 한자리를 차지했었기에 이번 문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 ...
마음으로 깨닫는 물질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결국 물리학
박사
학위를 따냈다.1971년 모교수의 귀국은 화려했다. 국내 여성 첫 물리학
박사
가 플랫폼을 내려서자 카메라 플래시는 연신 터졌고, 방송과 언론에서도 연일 대서특필로 보도했다. 하지만 모교수의 관심은 오직 연구. 바로 자신의 연구실이 마련된 이화여대로 향했다.‘과학과 문화’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주도해온 한국화학연구원 내에 아담한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사업단장인 유성은
박사
는 기자를 보자마자 느닷없는 등산 얘기부터 꺼냈다. “사실 신약개발은 산을 오르는 과정과 비슷하죠. 멀리 정상은 보이는데 그게 좀처럼 가까워지지 않죠. 신약개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내심을 갖고 ...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이나 소위 명문대에 진학해 서른이 넘을 때까지 공부를 계속해
박사
학위를 받는 경우라면 사정이 다르다. 이들은 대학이나 연구소 등에서 교수나 연구원으로 자리를 잡아야 하지만, 타 직종에 비해 능력에 합당한 경제적 처우를 받지 못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1990년대 이후 ... ...
날씨 변화와 근육통 관련 없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나머지 뇌의 부분)에서 통증을 처리하는데 이상이 있음을 발견했다고 말했다.포스
박사
팀은 노르웨이의 근섬유통협회에 속한 55명의 여자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 근섬유통과 날씨의 관계를 실험했다. 각 참여자들은 통증이 없는 상태를 0점, 통증이 매우 심한 상태를 1백점으로 매일 평가했다.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제기되는 주장이다. 1998년 미국 뉴욕대의 게오르기 드발리
박사
와 코넬대의 헨리 타이
박사
가 제기했던 ‘브레인 인플레이션’(브레인 폴) 이론이 그 중 하나다. 이 이론에서 우주는 미세한 끈과 차갑고 텅빈 막 여럿이 함께 들러붙은 양자적 혼돈 상태에서 나타난다. 만일 어떤 순간 막들 사이에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M13이라는 박테리오파지가 그 주인공. 영국의 프레데릭 생거
박사
에게 1980년 두번째 노벨 화학상을 안겨준 염기서열 결정기술(DNA sequencing)에필요한주형인‘한가닥(single-stranded)의DNA 제조’를 가능하게 한 바이러스다. 30억쌍의 염기서열을 밝혀내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왜 이토록 종이를 구기는 일이 만만치 않은 것일까.미국 시카고대의 시드니 나겔
박사
팀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예상을 깨뜨리는 결과를 얻었다.구겨진 종이는 뾰족한 부분과 접혀있는 가장자리들의 집합 형태다. 이같은 모양 안에 종이뭉치를 압축시키는 에너지가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