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6) 유전공학의 새로운 총아로 각광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생물종(種) 가운데 약50만종에 이르는 수가 식물계에 속한다. 식물은 동물과는 아주 다른
형태
, 생리 및 대사를 보여준다. 식물의 염색체도 동물과는 다른 구조적 특성들을 지닌다.첫째 식물의 게놈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아기장대 (Arabidopsis)처럼 게놈 크기가(7X${10}^{4}$kb) 인간의 2.5% 밖에 안되는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마찬가지다.처음의 연주정보가 사람이 실시간(real time)에 연주한 건반연주거나 다른
형태
(관악기 기타 드럼 등)의 악기를 이용한 연주라도 그것이 미디악기라면 모두 똑같은 결과가 된다. 다시 말하면 미디악기가 연주될 때 지금 연주된 연주정보(음정 길이 강약 등)는 미디신호로 바뀌어 그 악기의 ... ...
드링크제 만능피로회복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2~5㎎ 포함돼 있다.이러한 비타민B군은 개별적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복합체의
형태
로 드링크에 포함돼 있는 경우도 있다. B복합체의 대표적인 예가 니코틴산이다. 우리나라 의약품 드링크 다섯종에는 니코틴산아미드가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20㎎까지 모두 들어 가 있다.니코틴산이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M104는 옆면으로 보이는 은하의 가장 멋진 예이며,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의 중간
형태
로 여겨지고 있다. 이 은하의 중간에 가로 놓여진 선은 6인치 정도의 작은 망원경에 의해서도 희미하게 보이지만 그 정확한 모습은 10인치 이상의 망원경을 사용해도 뚜렷하게 알아보기는 힘들다. 이 은하는 ... ...
방사능 피해 α입자가 문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딸세포의 경우는 모세포의 염색체 이상과는 또다른
형태
로 이상(異常)을 보이는데 이는 세포분열 이후에도 염색체 이상이 계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연구팀은 간세포가 어떤 종류의 훼손을 입는지를 정확히 밝히는데 주력하고 있다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박사는 대부분의 네안데르탈인 두 개골의 뒷부분을 보면 마치 작은 빵이 들러 붙어 있는
형태
라는 것을 강조한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발견되는 초기 현생인류의 두개골도 이런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스라엘에서 발견되는 초기 현생인류의 두개골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에는 이 특징이 둘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현미경이 개발된 후 여러 박테리아에서 작은 지방입자가 자주 발견됐다. 처음에는 지방
형태
의 입자가 있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1923년 이 입자의 성분이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hydroxybutyrate)의 단위로 된 PHB(polyhydroxybutyrate)임이 밝혀졌다.60년대초 박테리아에 의한 PHB의 생합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진전되어 왔다. 이런 추세라면 모뎀이 중앙처리장치내의 단 한개의 칩으로만 구현된
형태
의 컴퓨터가 나올 법도 하다. 아마 10년 이내에는 달성될 수 있으리라고 전망된다. 이렇게 소형화되고 값싼 모뎀은 비싸고 덩치 큰 모뎀의 사용에 불편을 느낀 반긴이라는 연구원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만든 것이다. 이 두척의 모형배는 모양이 조금 다르다. 특히 사라져버린 선실과 갑판의
형태
는 제각각이다.물론 이 모형에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도 있다. 원로 조선공학자인 김재근박사는 "배의 길이에 비해 폭이 너무 넓고, 폭에 비해 깊이가 너무 낮게 제작됐다"고 지적한다. 이렇게 여러 전문가의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등에 예민하게 변하는 형상 때문에 실험제작만도 7년 가까이 걸리고 말았다. 반사경의
형태
가 동일한 내측의 여섯매가 우선적으로 제작됐고 그 외부의 세매가 제작돼 현재는 아홉매가 배열돼 있다. 그 유효면적은 이미 팔로마산의 헤일망원경(지름 5.08m)보다 커져 있다. 92년에는 36매가 전부 완성될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