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레파스 vs 색연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아예 뺀 수채 색연필도 있어요. 수채 색연필은 색이 연하고 수정하기 쉬우며, 물을 이용해서 번지기나 흐리기 같은 다양한 미술 표현을 할 수 있어요. 크레용+크레파스=파스텔크레파스는 1926년 일본에서 크레용과 파스텔의 장점을 따서 개발한 제품이에요. 크레용은 색이 선명하고 광택이 나지만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연구 결과가 선수들의 연봉 협상시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세이버매트릭스를 이용하면 팀의 득실점을 바탕으로 기대 승률도 예측할 수 있다. 기대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은 그 형태가 마치 피타고라스의 법칙(a²+b²=c²)을 닮았다고 해서, ‘야구 경기의 피타고라스 정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조지 하트 교수님이 이끄는 워크샵에서 조노돔을 이용해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었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정육면체부터 마름모로 이루어진 30면체까지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었는데, 가장 신기한 것은 마지막에 만든 30면체 20개를 연결한 커다란 정1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는 사람들이 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시에 만든 숲을 말한다. 도시 사람들이 이용하며, 도시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 외곽의 산을 포함해 도시에 있는 모든 나무와 풀은 ‘도시숲’이 될 수 있다.도시숲, 이런 일까지 한다고?한참을 뛰어 놀던 닥터 그랜마가 문득 ...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구한 기본적인 설계도를 컴퓨터로 다시 정교하게 다듬는다. 이때 스플라인 함수를 이용하여 특색 있는 곡선을 그려 넣거나, 차체의 곡면을 더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만드는 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엔진 속의 다크호스, 수학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에도 그 원리부터 생김새까지 수학이 들어 있다. ...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매년 세계 36개국을 대상으로 소득과 일자리, 건강, 교육, 주관적 만족도 등 11개의 변수를 이용해 각 나라별 행복 지수를 발표하고 있어요. 올해에는 지난 5월 발표했는데, 우리나라는 하위권인 27위를 기록했어요. 교육은 7.9점으로 점수가 높았지만, 삶의 만족도는 4.2점으로 점수가 낮았어요.이처럼 ... ...
- [W5 코드 브레이커] 컴퓨터가 이끈 새로운 암호 시대!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컴퓨터들은 모두 진공관을 이용했는데, 전류를 흘리거나 끊을 수 있는 진공관의 특징을 이용해서 정보를 처리했다. 전류가 흐르면 1, 끊기면 0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 진공관을 연결하면 다양한 수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망을 바꾸면 원하는 계산을 하게 만들 수도 있다. 실제로 에니악은 ... ...
- Part 2. 입자도 기하학으로 설명한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뿐이다.세 번째는 평균을 취하는 방법이다. 관찰 대상을 이루는 원자와 분자의 평균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물을 이루는 원자와 분자가 가진 에너지의 평균을 온도라고 정의하는 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초끈으로 우주만들기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Part 1.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노즐 사이를 지날 때 물렁물렁한 상태가 됐다가 급격히 식어 다시 딱딱해지는 원리를 이용한다.보통 3D프린터에서 심지로 쓰는 플라스틱으로는 배터리를 만들 수 없다. 그래서 연구팀은 양극과 음극의 재료로 쓸 수 있는 잉크를 새롭게 개발해야 했다. 양극 재료로는 리튬티타늄산화물(LTO)을, 음극 ...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전기 자극 신호로 변환해 자체 개발한 수학 알고리듬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 자료를 이용해 벽과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추정한 뒤 3차원으로 복원해, 이를 바탕으로 방의 정확하게 구조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베테를리 교수는 “건축을 음향학적으로 설계할 때는 물론, 가상현실을 구현할 때나 ... ...
이전582583584585586587588589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