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맛은 기호나 취향의 영역이 아니었던가. 미국의 화학자 게리 보샹 박사는 지난해 10월 국제 학술지 ‘생리학및행동’ 저널에서 에너지원인 포도당에서는 단맛이, 세포 내 신호전달에 필요한 나트륨에서는 짠맛이 난다며 맛과 생존의 상관관계를 설명했다(doi:10.1016/j.physbeh.2016.05.007). 우리가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혈관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석학이다. 최근에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모세혈관의 특징을 정리한 리뷰논문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지난 5~10년간 혈관연구단과 세계 각국 과학자들이 모세혈관의 비밀을 풀어낸 논문 160편을 분석한 결과가 담겼다. 사이언스 리뷰논문은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평균 2분 31초로, 1분 21초인 남성보다 길었어. 붐빌 땐 한 칸만 줄여도 비상사태2017년 7월, 벨기에 겐트대학교에서 ‘대기행렬이론’을 연구하는 바우터르 로히스트 교수팀이 화장실 분배법을 계산했어. 대기행렬이론은 20세기 초, 전화선이 부족해 전화교환원이 선을 연결할 때까지 기다려야 ...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3명을 더 뽑아 6명이서 콧노래로 작곡하는 앱 개발에 힘썼다. 그리고 딱 1년 만인 2016년 5월 ‘험온’의 베타버전을 서비스했다. 험온은 ‘컴온(come on)’에서 착안했다 ‘컴’ 대신에 콧노래를 부른다는 뜻의 ‘험(hum)’을 써서 이름을 지었다. 험온을 켜고 콧노래를 부르면 그 음을 곧바로 악보로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나섰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7월부터 화장품을 만들 때 미세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했답니다.# 작은 노력부터 실천해 나가면 분명 깨끗한 바다를 되돌릴 수 있을 거야. 친구들은 어떤 방법을 실천할 수 있을까? 함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큰 특징이에요. 그런데 5~7월, 땅에도 뾰족한 매발톱이 나타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5월쯤 땅에서는 봄을 대표하는 꽃인 매발톱꽃이 피기 시작해요. 가지 끝에서 피기 시작한 꽃은 자랄수록 아래쪽을 향해 꽃잎을 펼치지요. 수술을 둘러싸고 있는 꽃잎은 노란색을, 바깥쪽 꽃받침은 자주색을 ... ...
- [과학뉴스] 초음파로 길 찾는 박쥐, 빌딩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매끈하고 수직으로 서 있는 물체는 잘 인식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9월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생쥐귀박쥐 21마리가 어둠 속에서 사각형의 인공 터널을 비행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터널 모퉁이에는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을 지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 ...
- [과학뉴스] 여성 바이킹 전사, DNA로 존재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DNA 분석을 통해 바이킹 시대 여성 전사의 존재가 최초로 확인됐다. 샬롯 헤든스티에나존슨 스웨덴 웁살라대 고고학및고대사학과 교수팀은 바이킹 전사의 ... 무덤 주인이 군 지도자였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자연인류학저널’ 9월 8일자에 실렸다.doi:10.1002/ajpa.2330 ... ...
- [과학뉴스] 물로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폭발 위험이 없는 물 기반의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가 개발됐다. 천쉥 왕 미국 메릴랜드대 생체 분자공학과 교수와 캉 쑤 미국육군연구소 연구원 등 ... 전기화학적 성질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줄’ 9월 6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joule.2017.08.00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발생한 폭풍을 최초로 우주에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doi:10.1038/nature10205). 폭풍은 약 3개월 동안 토성의 북위 30도 부근을 돌면서 동서로 30만km에 걸쳐 거대한 구름을 형성했다. 사진에는 토성 대기의 깊숙한 곳에서 얼음 구름이 솟아오르는 모습이 생생하게 찍혔다. 이런 폭풍은 대류 현상이 잦은 ... ...
이전5835845855865875885895905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