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들어가면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일시적으로 많아져 얼굴이 붉어진다. 큰그림 보러가
기술
을 마신 뒤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은 어떻게 일어날까. 대개 몸 안에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어서라고 알려져 있는데, 정확히는 알코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ALDH)가 없기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2009년 1월 2일자에 실었다. 논문에서 데드 교수는 스마트폰의 전자나침판 같은 증강현실
기술
을 적용한 체감형 게임 사례를 소개했다. 국내에 등장할 체감형 기능성 게임이 어떤 평가를 받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컷의 정자와 경쟁해야 하는 정자는 자신의 가장 가까운 혈연관계를 알아보고 협력하는
기술
을 발전시켰다.그렇다면 정자는 서로 어떻게 형제를 알아보는 걸까. 영국 셰필드대의 저명한 동물행동학자 팀 버크헤드 교수는 “수컷 쥐가 정자의 표면에 서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화학적 특징을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전문적으로 해주는 회사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13년간 광주과학
기술
원에서 열심히 연구한 김 교수는 올가을부터는 연세대 나노바이오 NCRC 협동과정으로 자리를 옮길 계획이다. 김 교수는 “정든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을 떠나서 아쉽지만 그동안 부족함을 느낀 생물학과나 ... ...
기초 학업 위에 스펙 뒤따라야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6명 중 1명이 입학사정관제로 선발된다. 정책적으로는 지난해 연말, 교육과학
기술
부가 입학사정관제 우수 운영 대학에 예산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도입과 확대를 독려하고 있는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적용이 다소 속도가 빠른 게 아니냐는 우려의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입체의 단면을 보여 주기 때문에 병의 원인을 알아 내는데 중요한 도구예요. 요즘은
기술
의 발전으로 움직이는 내장도 촬영할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CT는 오래된 화석 모양을 복원하는 데도 쓰여서 활용이 다양해요. 그 밖에도 3D로 건축을 설계하는 것이나 3D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3D를 ... ...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정신건강 증진식품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10년 이상 뒤져 있다”며 “새로운 개념과
기술
을 개발하려면 식품과학자와 신경과학자, 임상전문가의 융합연구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인도 패러독스를 ... ...
뱀장어에 고등어 꼬리 붙이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영하는 물고기가 더 빨랐다. 이는 고등어와 뱀장어가 이들이 사는 환경에 맞게 수영
기술
이 진화해왔음을 뜻한다.연구팀은 물고기가 헤엄칠 때 주변에 발생하는 와류(渦流)를 분석해 이들 물고기들이 지금과 같은 모습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헤엄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현재와 같은 ... ...
자기조립물질이 경고하는 지구온난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원의 작품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이 선정한 ‘2009 국제 과학
기술
시각화대회’ 사진 부문 1위에 뽑혔다. 올해로 일곱 번째로 열린 이 대회는 세계 14개국에서 출품된 과학사진·삽화·정보성 그래픽 등 130개 작품 가운데 우수작과 장려작 15편을 선정했다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 있느냐 없으냐의 문제가 아니라 꼭 해야 하느냐는 필요성이 상상력을 향해가는 과학
기술
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얘기”라며 “경제, 사회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취사선택하는 것도 앞으로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식의 대통합 vs 전문화 1997년 미국 하버드대 교수인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