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학에 만화를 더하면 펑! 박동곤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쌓듯 차곡차곡 연결해 만들어집니다. 원소 기호가 가득 적힌 주기율표는 글을 쓸 때 사용하는 한글자판(키보드)이나 마찬가지예요. 물을 나타내려고 한글자판으로 ‘ㅁㅜㄹ’이라고 치듯이 화학자는 주기율표로 ‘H₂O’라고 표현하지요. ‘산소가 수소를 만나서 물이 됐다’는 것도 화학자들은 ...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당연히 허들갑 군보다 똑똑하답니다. 인공 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마지막 남은 연료를 사용해 의도한 경로로 움직이도록 해요.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와 바다에 떨어지도록 한다고요. 2001년에 태평양으로 떨어진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 호’가 아주 좋은 예지요.” “에이, 매우 상식적이잖아요. ... ...
- 밭에서 나는 고기콩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각 요리에 맞는 콩고기를 구할 수 있지만 보통은 ‘콩단백’이라고 부르는 식품을 사용해. 이것을 다양하게 요리하면 개성있는 콩고기 요리가 된단다. 콩단백을 불고기처럼 얇게 썰어 볶아 만든 콩양념불고기(❶), 콩으로 만든 탕수육인 매실콩탕수(❷), 듬직한 콩스테이크(❸), 싱싱한 과일과 ... ...
- 하늘로 둥둥 떠오르는 풍선의 비밀! 헬륨(He)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폭발성이 있는 수소보다 안전하기 때문에 풍선이나 비행선 등의 기구를 만드는 데 많이 사용해요. 스페인의 한 기업에서는 헬륨 기구를 타고 우주여행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지요. 또한 프랑스 파리의 앙드레 시트로앵 공원에는 150m 상공을 비행하는 지름 22m, 높이 32m 크기의 대형 헬륨 ...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약으로 썼다. 또 중세시대에는 귀지를 오줌과 함께 책을 만드는 데 쓰는 색소로 사용했다. 콧물 VS 침더 끈끈한 분비물은?끈끈하기로 치면 앞뒤를 다투는 콧물과 침! 둘 중에서 누가 더 끈끈할까요? 분비물의 끈끈한 정도는 ‘뮤신’이라는 성분이 결정해요. 보통 침은 수분이 99.5%에 이르는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사용하기도 제격이다. 현재 폴리머는 터치스크린이나 평판 모니터, 태양전지 박막 등에 사용하고 있다. 이 폴리머 잉크를 이용해 필름과 같은 유연한 기판에 회로를 인쇄한다면 자유롭게 휘어지는 전자 종이도 만들 수 있다.“결아, 이제 헤어져야 할 시간이 왔구나. 저기 어머니께서 부르는 소리가 ...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하나의 완전한 국새를 만들기 위해 모래를 뿌려 안쪽의 거푸집을 없애는 어려운 기술을 사용했지요. 이외에도 단단하면서도 색이 아름다운 국새를 만들기 위해 금속을 어떤 비율로 어떻게 섞을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4개월 동안 하기도 했어요. 또 반짝이는 국새를 만들기 위해 간단하게 산을 이용해 ...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맨 앞줄의 이빨이 빠지면 바로 뒷줄의 이빨이 그 자리를 대신하지. 상어 한 마리가 평생 사용하는 이빨은 종에 따라 3만 개나 된다고!또 양턱이 머리뼈에 느슨하게 연결돼 있고, 턱을 밀어넣었다 당겼다 하는 강한 근육을 갖고 있어서 입을 크게 벌릴 수 있어. 덕분에 큰 먹이도 단번에 삼킬 수 있단다 ...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미국 메이저리그의 야구팀인 콜로라도 로키스는 실제로 상대습도 50%인 방에 보관한 공을 사용했다. 그 결과 투수들의 실점이 이전보다 줄어들었다. 홈런왕 나안타의 비밀 무기네~, 너삼진 선수 오늘 뭔가 달라 보이는데요? 공의 속도도 빠르고 변화구도 무시무시해 보입니다. 오! 드디어 나안타 ... ...
- 하늘을 나는 카펫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개선해 비행 속도를 초당 1m까지 높이겠다고 밝혔지요. 배터리 대신 태양열 전지를 사용해 비행거리도 늘리겠다고 하는데요, 만화 속에서만 보던 나는 양탄자를 언제쯤 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 ...
이전5845855865875885895905915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