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디지털 신호로 바꿔 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우주가 생긴 뒤 1억 8000만 년 후에 생긴 별의 흔적을 찾는 데 성공했어요. 이는 지금까지 밝혀진 별의 흔적 중 가장 오래 된 것이랍니다. 그밖에도 과학자들은 우주의 시작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연구 중이에요. 대표적으로 202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교수님과 친해지고 싶은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이석형입니다. 박사과정 1년 차 때 교수님께서 필즈상을 받으시면서 갑자기 엄청나게 바빠지셨어요. 세계수학자대회 준비에다 쏟아지는 강연 요청에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셨거든요. 덕분에 전 교수님을 뵐 기회가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한다는 게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을 지나는 것 같았어요. 김미란 교수: 대학교 1학년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에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우면서 힘들었어요. 그 전에는 단편적인 개념을 통해 문제를 푸는 게 전부였기 때문에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사고를 ... ...
- 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연세대학교와 함께 화학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 36곳 중 10군데가 수학 연구소입니다. 수학 연구소가 많은 이유는 프랑스가 기초과학 중에서도 수학에 강해 프랑스의 수학을 배우고 싶어 하기 때문일 겁니다. 프랑스 수학자들은 그 이유를 수학의 전통에서 찾습니다. 이미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기준으로 ‘도’ 음의 바로 다음 검은 건반은 2의12/1배의 진동수를, 그 다음 흰 건반은 2의12/2배로 조율하는 방식이지요. 최고의 하모니는 순정율평균율에는 무리수 개념이 이용되니, 무리수 개념이 없던 기원전 6세기에 생각지 못했겠지요. 지금처럼 다양한 악기도 없었을 테고요. 그렇다고 ... ...
- [별난이름정리] 다윗의 별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다윗의 별 정리’를 발견합니다. 파스칼의 삼각형에 있는 숫자는 가장자리의 1을 제외하면 전부 여섯 개의 숫자로 둘러싸이게 됩니다. 여섯 개의 숫자를 하나씩 건너 뛰어 선택해 세 개씩 짝지어 봅시다. 예를 들어 84를 기준으로 가장자리 여섯 개의 숫자는 (56, 36, 210)과 (120, 126, 28) ...
- [영재교육원 탐방 7]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 숨어있는 다양한 가능성 찾는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사사과정은 담당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직접 연구를 해 볼 수 있는 심화교육 과정이다. 1년 프로그램을 마친 뒤 우수한 학생을 선발해 사사과정을 운영하는 영재교육원이 많은데,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는 이런 심화 단계를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당연히 사사반이 있을 거라 짐작했던 기자가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제 1 장, 수학나라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동화 속 이야기냐고요? 아닙니다. 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이 함께 기획한 전시 ‘수학나라의 앨리스’가 6월 22일부터 9월 2일까지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열리거든요. 누구나 전시장에 오면 앨리스가 돼 수학나라를 탐험할 수 ... ...
- [과학뉴스] 영구동토 속 미생물, 지구온난화 주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의 물질대사 경로를 규명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웨덴 북부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200여 개의 시료 속에 있는 미생물 유전자 1500여 개를 분리한 뒤,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 ...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기존 센서에 비해 민감도가 17배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1V 정도의 낮은 전압과 1MHz(메가 헤르츠)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구동이 가능해 전압 문제와 노이즈 문제도 해결됐다. 박 교수는 “지문 센서에는 온도 센서와 압력센서도 함께 탑재해 위조 지문과 실제 지문을 구분할 수도 있다”며 ... ...
이전5855865875885895905915925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