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의 온라인으로 듣고, 교실선 토론 발표…‘거꾸로 수업’ 확산
2016.10.16
케이무크를 활용하고 있다. 이번 학기에는 김희준 서울대 교수의 강좌인 ‘우주와
생명
’을 집에서 듣고 학교에 와서는 학습 내용에 대해 토론하는 식으로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이 동아리 회장인 노현진 양은 “고등학교에서 배운 것과 관련이 있는 내용을 케이무크 강의를 통해 더욱 자세히 ... ...
알아야 지킨다! 민물고기 탐사대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14
한강납줄개, 납지리, 꾸구리 등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민물고기를 지키기 위해 지구사랑탐사대원들과 성무성, 김정훈 어벤저스가 모였어요. 지난 달 경기도 금당천과 섬강 ... 대원들의 모습. - 김정 기자 ddanceleo@donga.com 제공 도움 | 성무성(서원대 환경과학과), 김정훈(한림대
생명
과학과 ... ...
영화처럼 바이러스를 퍼뜨려 전 인류를 감염시킬 수 있을까
2016.10.14
외피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추출한 다음 이를 복제하면 된다. 정대균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DNA백신은 실험실에서 1~3주 만에 쉽게 대량으로 만들 수 있다”며 “다만 아직 효과가 불안정하고, 세포 속에 직접 DNA를 넣어야 하므로 ‘전기천공법’이란 특별한 ... ...
나무 종 수 10% 줄어들면 숲의 혜택도 ‘2~3%’ 준다
2016.10.14
8737종, 3000만 그루의 표본을 분석했다. 여기엔 서울대 농업
생명
과학대 김현석 교수와 농업
생명
과학연구원 이복남 교수가 1998년부터 2012년까지 모은 지리산과 백운산 표본도 포함됐다. 량 교수팀은 이렇게 모은 표본들을 분석해 나무의 종 수에 따라 달라지는 숲의 성장 속도를 분석했다. 그 ... ...
비행기에 거꾸로 매달려 ‘위기일발’
2016.10.12
잃은 비행기도 돌기 시작했다. 마일스 데이셔 본인은 물론 비행기에 탄 사람들 모두
생명
이 위험한 상황이었다. 놀라운 것은 다이버의 반응. 그는 아주 침착했다. 마음이 고요한 상태였다. 숱한 죽음의 고비를 넘긴 사람이니까 가능했을 것이다. 동료가 그의 윙수트를 비행기에서 떼어 내서 상황은 ... ...
페트병 소재 대체할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나왔다
2016.10.11
‘페트(PET)’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박오옥 KAIST
생명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롯데케미칼과 공동으로 ‘퓨란계 바이오 플라스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퓨란계 바이오플라스틱은 식물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들기 때문에 석유 ... ...
아파트 10층에 붙어 있는 남자
2016.10.11
차와 사람들이 많이 다닌다. 그리고 벌건 대낮이다. 자세히 보면 10층 정도의 창밖에 한
생명
체(?)가 있다. 속옷은 입은 것으로 보이는 남자다. 그는 에어컨 실외기에 붙어 있다. 까딱하면 저 아래로 추락할 수도 있는 위험천만한 상황이다. 저 남자는 보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서게 만들면서 뭘 ... ...
칭기스칸이 원래 서양인이었다고?
2016.10.11
싸여있던 칭기즈칸 가계의 비밀을 풀 단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광호 중앙대
생명
과학과 교수(사진)팀은 투멘 몽골 국립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650㎞ 떨어진 ‘타반 톨고이’ 지역에서 발견된 유골의 주인이 칭기즈칸 왕족의 후예일 가능성이 높다는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넓히기도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 가운데 하나가 카이스트
생명
화학공학부 이상엽 교수팀으로 특히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지 ‘엠바이오’에 실은 논문은 발표된 지 4년이 채 안 된 현재 105회 ... ...
합법적 자료 활용 vs.남의 연구자료 가로챈 ‘기생충’… 누가 옳을까
2016.10.09
올린 사람에게 주는 상이다. 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가 후원하고, 저명한
생명
정보학자들이 심사위원을 맡는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500달러와 네이처 제네틱스 1년 구독권이 주어진다. 주니어 기생충과 일관된 기생충 등 두 분야로 나눠 이달 14일까지 후보를 추천받을 계획이다. 기생충상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