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스
케이스
궤
빡스
나무궤짝
box
함
d라이브러리
"
상자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11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의해
상자
에 일정량의 운동량이 전달되면 무게를 재는 중력장에서
상자
의 위치가 변하게 될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시간의 속도는 중력장이 작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계의 변화된 위치 만큼에 해당하는 시간측정의 불확실성이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10
키를 누른 다음 끝 위치로 이동한다.② 〈Alt+L〉키를 눌러 새글자모양을 지정하는 선택
상자
를 불러낸다(그림 7).③ 원하는 문자속성과 문자체를 선택한다.④ '-찾기-'를 선택한다.⑤ 앞에서 지정한 글자모양으로 변환될 부분이 가지고 있는 문자모양을 지정한다.⑥ '-완료-'를 선택한다.예를 들어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10
넣어 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시간조절용 퓨즈를 이 흑색화약과 연결시킨 뒤, 종이
상자
속에 넣어져 밀봉되어진다.이렇게 만들어진 포탄들을 공중으로 쏘아 올리는 데 주로 금속지지대(metalmortars)가 사용된다. 포탄들을 금속지지대 속에 잘 정렬시킨 다음 전하를 폭발시키는 흑색화약을 다시 넣은 뒤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10
행동따위를 관찰하고 토론하는 행사도 있다. 이 밖에 대개의 자연사박물관이 소형전시
상자
책 영화필름 등을 대여하고 있으며 자연사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과 성인들의 모임을 클럽으로 운영하여 박물관시설과 자료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이용케 한다. 오늘날 자연사박물관은 날로 심각해지는 ... ...
한글편집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199009
이때 〈ALT+T〉키를 누르면 (그림3)과 같이 새로운 문단 모양을 지정할 수 있는
상자
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원하는 대로 조정한 뒤 완료를 선택하면 된다.지난호에서 한글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기 전에 CONFIG.EX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한글을 맞추는 작업을 설명했다. 이때 Paragraph란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06
가해지는 힘이 무엇인가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길이가 L인 금속
상자
속에 전자를 가둬 놓고 전압을 가해 가속시키면 우리는 일정한 운동량(혹은 속도)을 가진 전자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압을 주기만 하면 원하는 운동량을 지닌 전자가 만들어진다고 믿었다.그런데 ... ...
나방의 분신자살
과학동아
l
199005
콧구멍 옆에 조그만 구멍이 있는데 이것을 테이프로 가린 후, 많은 쥐와 함께 어두운
상자
에 넣어 두었을 때 어떻게 될까?① 며칠이 지나도록 한마리 쥐도 못 잡아 먹는다.② 눈을 가리지 않았으므로 쥐를 잡아 먹는다.③ 소리를 듣고 쥐를 잡아 먹는다.6. 사람은 물이 없으면 단 며칠도 견디지 못한다.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04
병렬처리개념으로 배열하는 아키텍처를 채택해야 하는데, 이는 마치 수백개의 구슬을
상자
안에 넣고 흔들어도 하나도 부딪치지않을 정도로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지능형컴퓨터용 병렬처리 아키텍처가 슈퍼컴퓨터용보다 훨씬 어려운 기술로 보고있다 ... ...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02
함유되어 있는 해수의 화학성분 그리고 퇴적물의 공학적 성질을 측정한 후 특수한
상자
에 보관 저장하여 한국으로 운반했다.시료채취기는 자유낙하식 채취기를 이용하기도 했다. 조사선에서 이 시료채취기를 투하하면 하중의 힘으로 수심 5천m 해저면까지 자유낙하하여 2천5백㎠에 해당하는 면적에 ... ...
영상창작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과학동아
l
199002
발명된 카메라는 오늘날의 카메라와 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단순한 '구멍뚫린 나무
상자
'에 불과했다. 과학의 발달은 렌즈와 필름의 여러가지 기능을 보완해 오늘날의 카메라를 탄생시켰다.그러나 카메라는 정지된 순간만을 촬영할 수 있을 뿐 연속적인 동작은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을 가졌다. 이러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