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d라이브러리
"
완전
"(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
완전
한 커넥톰 지도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뇌에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뇌의 이상을 특정한 뇌 영역이 아니라 뇌 ... ...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재생시키는 동물은 거의 없어요. 그래서 우리는 몸 어디를 자르든지 어느 조각이나
완전
한 한 마리로 자라날 수 있어요. 아부바커 박사님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편형동물인 지렁이를 관찰했대요. 지렁이는 이 특별한 유전자가 없거든요. 그래서 지렁이는 몸을 자르면 바로 죽는답니다.나에게도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로 수사 초기에 피해자 등 주요한 목격증인의 불
완전
한 기억을 되살려 단서를 찾거나, 진술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활용한다. 그런데 몽타주로 제각기 다른 사람들의 얼굴을 다 표현할 수 있을까? 몽타주를 통해 그릴 수 있는 범인의 얼굴은 몇 가지나 될까?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붙여 고압으로 ‘캘러스’에 발사한다. 캘러스는 식물 세포를 배양한 것으로, 씨앗처럼
완전
한 식물체로 성장할 수 있다. 금속 탄환이 식물세포에 박힐 때 유전자도 함께 전달된다.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면 파란 장미 외에도 그동안 불가능했던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 꽃잎처럼 잎과 ... ...
함수, 그리면 별거 아니야!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공부하기 전에 인수분해와 이차방정식을 한 번 더 복습하라!5. 이차함수는 되도록
완전
제곱꼴로 고쳐라!6. 이차함수 그래프를 그릴 때는 반드시 꼭짓점, 최댓값, 최솟값을 표시하는 습관을 들여라!어때요? 자신이 그린 이차함수 곡선이 아름답게 보이나요? 앞으로 교과서나 문제집뿐만 아니라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진자의 등시성’ 이론을 바탕으로 발명했지요. 이후 추시계를 더 연구해, 추시계가
완전
한 등시성을 갖으려면 사이클로이드 곡선 위에서 추가 흔들려야 한다는 사실까지 밝혀 냈습니다. 저의 추시계 발명 덕분에 과학자들은 좀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게 됐죠.효율 특허 뫼비우스의 띠 vs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들려주고 적게 하자 52개로 조금 높아졌다. 우리의 기억력은 절대 과신할 수 없는 불
완전
한 능력이다.맬콤 글래드웰은 ‘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에서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찾지 못해 오류를 저지른 역사적 사건들을 분석했다. 그런데 저자에 따르면 이와 비슷한 일은 우리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계획이다. 전기와 어종관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것이 목표다. 해상풍력이
완전
무결한 에너지원은 아니다. 해외조사에 따르면 해상풍력 단지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육상풍력에 비해 미미하다고 나타났지만 그래도 챙겨봐야 할 것들이 많다.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달리 진짜 뇌의 복잡한 회로망을 자세히 분석해 똑같이 만들겠다는 것이다. 사실 뇌는 불
완전
한 존재다. 속도도 느리고 기억력도 뛰어나지 않다. 툭하면 기억을 왜곡하기도 한다. 컴퓨터는 빠르고 정확해 그럴 걱정이 없다. 그럼에도 뇌를 똑같이 흉내 내야 하는 건 사람의 지능이 뇌와 뗄 수 없는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추측했죠.과학에서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는 발생학이 아닐까요. 수정란에서
완전
한 형태의 개체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니까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쥐도 발생학을 연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미 쥐의 자궁속에서 일어나는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