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피험자 37명의 양쪽 귀지와 머리카락, 혈청을 한 달동안 총 두 번 추출해 각 샘플의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했어요.먼저, 왼쪽 귀에 주사기로 37℃의 물을 넣어 귀지가 물과 함께 빠져나오도록 했어요. 오른쪽 귀지는 연구팀이 직접 개발한 장치로 꺼냈지요. 실험 결과 머리카락,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여러 신호를 통해 볼 수 있는 물질만을 설명해요. 이는 우주를 이루는 모든 물질의 총 질량에서 약 25%밖에 되지 않지요. 나머지 75%는 정체를 밝히지 못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예요. 이중 ‘암흑물질’은 빛을 내거나 반사하지 않아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중력을 받는 물질을 통틀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바람이 전기가 되는 풍력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풍력발전기예요.바람이 전기가 될 때까지 에너지의 형태는 총 3번 바뀌어요. 가장 처음의 형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예요. 바람이 불어 풍력발전기의 날개를 돌리면 바람의 운동에너지가 기계의 운동에너지로 바뀌어요. 기계의 운동에너지는 날개와 연결돼 있는 발전기를 ...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짧으므로, 하지 선은 절기선 중 가장 아래쪽에 있어요. 이렇게 앙부일구에는 24절기가 총 13개의 절기선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영침의 그림자가 가리키는 절기선을 보면 앙부일구를 달력처럼 사용할 수 있지요. # 에필로그꿀록 탐정이 구조선에 무인도의 위치를 보내자 곧 구조선이 도착했어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60이 아니고 1600이 맞습니다. 권총에서 발사된 총알의 속도와 비슷한 속도죠. 말 그대로 ‘총알 같은 강속구’네요. 이렇게 빠른 속도로 발사되는 야구공의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이 공을 글러브로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자신있게 말씀을 드리자면, 무엇을 상상하든 이 야구공의 위력은 여러분이 ... ...
- [특집] 네가 날 좋아하게 만들겠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등 열두 종류의 음료 중 2개를 무작위로 보여주고, 이 중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게 했어요. 총 400번의 실험을 반복하며 주스의 선호도를 파악했고, 이후 더 좋아하는 주스가 왼쪽에 위치하도록 조정했어요. 실험에 참가한 원숭이들은 늘 왼쪽 주스를 선택했지요. 이후 붉은털원숭이 세 마리의 ... ...
-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따·분·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한 뒤, 실천 내용을 인증샷과 함께 홈페이지에 올려주었어요. 217명의 기자단 친구들이 총 437건의 인증샷을 올리며 따분행 프로젝트에 활발히 참여해 주었답니다. 자랑스러운 친구들의 분리배출 인증샷, 함께 살펴볼까요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탐사 기록을 분석하는 연구 활동을 시작했어요. 4년간 지사탐 대원들이 올린 기록만 해도 총 1만 4594건이나 되지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국립수목원에서는 모든 탐사기록을 살펴보고 사진 속 식물이 어떤 종인지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최근 중간 결과로, 4년간 탐사 대원들이 가장 많이 만난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술을 전수받기로 했습니다. 새벽 5시 스미소니언 동물원에 도착해 보니, 이미 마취총을 맞고 잠든 자이언트판다가 수술대에 누워 있었습니다. 수의사가 전극봉으로 정소와 전립선을 전기 자극해 정액을 채취했지요. 채취한 정액을 현미경 재물대에 올리자, 연결된 모니터에 수많은 정자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단공류, 절대온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가지고 있어 단공류는 포유동물로 분류돼요. 지금은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 4종 등 총 5종의 단공류가 남아있답니다. 절대온도(絕對溫度) 우리는 일상에서 섭씨온도(℃)를 주로 쓰지만, 과학자들은 섭씨 말고 다른 온도 체계를 쓰기도 해요. 바로 ‘절대온도(K, 켈빈)’지요.절대온도는 1848년,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