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뉴스
"
공명
"(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
과학동아
l
2016.09.07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뇌 질환이 없는 60세 이상 노인 96명의 자기
공명
영상(MRI) 결과를 분석해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을 개발했다고 7월 21일 밝혔다.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은 좌우 폭이 13.6cm로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 ...
개는 사람 말의 의미 뿐만 아니라 ○○에도 반응한다!
2016.09.03
사람이 말투와 말을 다르게 하고 그 때마다 활성화 되는 개의 뇌 부위를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촬영한 것입니다. 바로 칭찬하는 말이나 별다른 의미 없는 말을 기분 좋은 말투 및 감정 없는 말투로 들려준 것이지요. 그 결과, 좌뇌는 의미가 담긴 말에 반응해 활성화되었고 기분 좋은 말투에는 ... ...
사고의 기억 ‘트라우마’ 극복 가능해졌다
2016.08.30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 생존자들의 뇌를 1년 3개월가량의 간격을 두고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촬영해 분석했다. 사고 직후 생존자들의 뇌는 공포반응을 관장하는 편도체가 일반인에 비해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었다. 그러다가 약 2년 8개월 지난 뒤부터는 편도체의 활성화 정도를 낮추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사이언스 제공 연구진은 210명의 참가자를 모아 뇌 자기
공명
영상(MRI),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등을 촬영한 다음, 각 참가자의 대뇌피질의 두께, 혈류 변화 등을 분석했다. 여기에 인공지능(AI)에 쓰이는 ‘머신러닝’기술을 동원해 개인별 차이를 보정했다. 데이비드 반에센 미국 워싱턴대 ... ...
[과총 50주년]13~14일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최
2016.07.08
피력할 계획이다. 실제로 LHC에 사용된 초전도체와 극저온 기술, 전자기 기술이 자기
공명
영상(MRI), 양전자단층촬영(PET) 장치 등 의료기기 개발에 활용됐다. 엄정욱 과총 정책연구실장은 “기후 문제 등 여러 나라가 협력해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늘어나는 등 과학기술 연구에서는 국경이 점점 ... ...
공부와 운동,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은?
2016.06.22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뇌를 자기
공명
영상(MRI)으로도 촬영했는데요. 4시간 후 운동을 한 참가자들의 사진에서 학습 및 기억과 관련 중요한 부분인 해마 영역이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보다 더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진은 ... ...
초전도자석 둘러싼 ‘韓日 전쟁’ 시작되나
2016.06.21
한국전기연구원 초전도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에 필요한 초전도자석 제작 비용을 절반으로 낮춰 지금까지 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일본 기업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배준한 한국전기연구원 초전도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기존 초전도자석 ... ...
[마음을 치는 시(詩) 19] “대나무 그림자가 장구채처럼 문에 어리던 날”
2016.06.18
천천히 마른 창호문의 창호지는 “빳빳하게 당겨”져 창호문을 닫으면 마치 장구처럼
공명
(共鳴), 즉 울림소리가 극대화됩니다. 이 시는 바로 그 ‘잊힌 소리’를 독자에게 다시 떠올려줍니다. “수저 부딪는 소리도 / 새소리 닭울음소리도 한결 울림이 좋았다”라며 독자를 기억과 상상의 공간으로 ... ...
[직접 타봤어요]현대 ‘아반떼 스포츠’
동아일보
l
2016.05.10
힘껏 밟자 4000RPM(분당회전수)까지 무리 없이 죽 올라갔다. 중저음의 엔진음은 내부에서
공명
하는 느낌이었다. 외부로 과하게 배출되지 않아 시내 주행을 하기에도 적합할 것 같았다. 용수철처럼 튀어 나가는 느낌은 덜했지만, 어느 정도 달리는 상태에서 가속이 시원하게 붙는 힘은 인상적이었다. ... ...
“네 말을 들으면 내 뇌의 ○○ 부위가 반응해”
2016.05.01
실험대상자에게 미국 라디오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2시간 넘게 듣게 하면서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뇌를 촬영했다. 뇌의 혈류량과 산소량 변화를 측정해 대뇌 피질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분석한 것이다. 이어서 시간에 따라 기록한 뇌 영상 데이터를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어휘와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