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섬모충과 공생체(실리아티콜라)가 나오기까지 지난 20억 년의 진화를 도식화한
그림
이다. 아스가스 고세균이 산소 호흡 박테리아를 포획하면서 역사가 시작됐고 에너지를 담당하는 세포소기관(미토콘드리아)으로 바뀌면서 진핵생물이 등장했다(a). 진핵생물의 여러 갈래 가운데 하나인 섬모충(ciliate ... ...
3D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폐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로 매우 얇은 인공 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림
에서 맨 아래 보라색 부위가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 폐 모델이다. 실제 폐포막처럼 3층으로 이뤄져 있다. 포스텍 제공 폐는 바이러스나 미세먼지 등 외부 감염원인 미세 입자의 침입에 가장 취약한 호흡기관으로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어디에 살고 싶은지 물었더니, 많은 이가 사바나를 골랐다.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살고 싶은 원시적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낙토다. 안전한 은신처 하지만 인간은 정말 사바나의 환경을 좋아할까? 골프장의 조경은 아름답지만, ... ...
미국 교실내 거리두기 1m로 줄인다…CDC 등교지침 발표 한달 만에 완화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달 공개한 등교 재개를 위한 지침. 6피트(약 1.8m) 거리두기가
그림
과 글 모두에 등장한다. CDC 제공 CDC가 한 달여 만에 거리두기 지침을 완화하기로 결정하는 데 근거가 된 연구는 미국감염병학회(IDSA)가 발행하는 학술지 ‘임상감염병(Clinical Infectious Diseases)’ 10일자에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접촉 가능성이 높은 동물들을 중심으로 28종의 고위험군을 선발했다. 그 결과는 아래
그림
과 같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동물들. 출처 Lam et al., 2020 실제로 사스코로나바이스-2에 대한 동물 감염 시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감염이 보고된 동물의 종류는 ... ...
환경부, 홍수·가뭄 막고 수자원 과학적으로 관리할 위성 2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이달 17일 '수자원위성 개발 및 운영 기본계획(2021~2028년)'을 발표했다.
그림
은 수자원위성 사업 목표 개념도. 환경부 제공 기후변화와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영상위성과 공공복합통신위성이 2025년과 2027년까지 개발된다. 환경부는 17일 총 5545억 원을 투입해 수자원영상위성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는 20년 묵은 낡은 제도
2021.03.17
되기도 했다. 운영이 극도로 경직된 학교에서 학생들의 실질적인 ‘교과 선택권’은
그림
의 떡일 수밖에 없다. ‘물리’ 전공의 교사를 확보하지 못한 학교의 학생들이 ‘물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없다. 다른 학교의 물리 교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교육부의 ‘클러스터’도 ... ...
"귀 주변에서 2주 이상 덩어리 만져지면 침샘암 의심"
연합뉴스
l
2021.03.15
2021.03.15. [삼성서울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선 이하선이 위치한 귀 주변(
그림
A)을 손으로 주의 깊게 만지면서 덩어리가 있는지 확인(
그림
B)한 뒤 턱뼈에서부터 입꼬리, 코 옆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림
C) 살펴보면 된다. 이하선의 일부가 존재하는 턱뼈와 귀 뒤 뼈 사이의 공간도 ... ...
‘이말년씨리즈’ 같은 히트작 그리는 ‘AI 만화가’ 꿈꿔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3.13
동시에 판별망은 이 이미지에 대해 진짜 이말년 작가의
그림
인지 생성망이 그린
그림
인지 구분합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생성망은 판별망을 속이기 위해 점점 더 진짜 이말년 작가처럼 만화를 그릴 수 있습니다. Q. 현재 회사에서 하는 연구는? 적대적 신경망 기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AI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두루미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데, 두루미는 나무 위에 앉는 습성이 없으니
그림
속 새는 실제로는 황새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새는 한국에 서식하는 텃새 중에서 가장 큰 축에 속한다. 몸길이는 110~150cm, 날개 편 길이는 200~273cm, 부리 길이는 25cm 내외다. 국내에서 관측되는 조류 가운데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