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뉴스
"
상
"(으)로 총 3,0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두번째 비행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비행시험 전 발사경로와 관련 있는 영공 및 해
상
안전에 대한 조치를 했으나 군사보안
상
의 문제로 인해 모든 국민들께 사전 보고드리지 못하였다"고 설명했다 ... ...
[일
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
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특별기고] '허준이 필즈
상
' 못다전한 이야기
2022.12.30
훌륭한 젊은 학자들을 발굴하고, 노출시키고, 격려하는
상
의 가치가 주목돼 주요
상
들이 재편되면 어떨까. 박형주 아주대 수학과 석좌교수. ※필자소개 박형주 아주대 수학과 석좌교수. 1986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길에 뿌려진 염화칼슘을 보면 어는점 내림 현
상
을 이용한 냉장고나 에어컨이 떠오를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과학게시판] 어린이과학관 관찰놀이터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연구 분야에서 성과를 낸 조동완 지질연 광물자원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을 포함해 29명이
상
을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 계간지 'S&T DATA’를 창간했다고 26일 밝혔다. S&T DATA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외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 동향과 전망, 데이터 관련 ... ...
[과학게시판] 아태 측정표준 협력기구 젊은 과학자
상
에 표준연 이석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수여하는 2022년 대
상
수
상
자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아시아 학자 최초다. 해당
상
은 관련분야의 전세계 학자 중에서 국제적으로 선도적이고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수여한다. 김 석좌교수는 세계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자율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소행성충돌·아르테미스·필즈
상
...가디언, 과학자 선정 올해 10대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다트(DART) 우주선이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하는 순간을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OWL-Net)로 관측한 모습. 천문연 ... 항생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면역 연구, 전 세계 조기 위험기
상
경보 시스템 구축 등을 10대 과학 뉴스로 꼽았다. ... ...
누리호 조직개편 내홍에 이종호 장관 "합리적 해결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의견들을 서로 논의하면 풀어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방법이나 절차
상
의 서로 이견이 있지 않았었나 추측을 한다”며 “다들 훌륭한 분들”이라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고 본부장의 사퇴서 역시 수리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이 장관은 “고 본부장이 계속 중책을 맡아 잘 ... ...
서비스기업 연구개발 '비대면 근무' 자리잡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서비스업의 구분이 불투명해지고 다양한 서비스 활동에 제조업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
황에서 서비스업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가 제도적으로 적극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 68년 만에 스파이 누명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8
이번 정부의 발표에 대해 오펜하이머의 전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로 2005년 퓰리처
상
을 받은 카이 버드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1954년 오펜하이머에게 행해진 일은 국가의 명예에 먹칠을 한 것"이라며 "수십년이 늦었지만 (정부가) 반응과 화해의 제스처를 보냈다는 사실은 긍정적이라고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