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개념 이차전지 설계로 에너지밀도 20%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구조는 기존과 달리 전해질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신규 전극을 다층으로 쌓아올린
새로운
형태의 전지 설계가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구조를 사용하면 기존 이차전지 대비 에너지밀도가 약 20%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새로 개발된 전극 설계는 분리막의 안전성을 개선하고 전극의 ... ...
위암 원인 '헬리코박터균 감염' 치료 후보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요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이하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됐다. 기존 제균 치료와 병용해 사용하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손미영 국가아젠다연구부 부장 연구팀이 위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를 이용해 ... ...
임현택 회장 탄핵, 변곡점될까…여야의정협의체는 '반쪽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회장을 필두로 의협과 대전협 두 단체가 상호 연대를 구축할 수 있길 바란다”며 새 집행부가 들어서면 의협과의 논의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의협 새 지도부와 전공의 ... ...
천연물 '세큐린진 B' 최초 합성…분자 광스위치로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발견한 원리를 다양하게 응용 가능한
새로운
분자 광스위치 개발로 연결한 사례”라며 “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자연현상의 작동 원리를 탐구하는 기초과학 연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켐(Chem)’에 지난달 3 ... ...
5배 빨라진 열처리…"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못하게 하는 코팅층을 도입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는 공정 기술이다.
새로운
봉지기술을 적용한 필름은 기존 봉지필름의 40% 수준으로 얇아 유연성이 개선됐다. 60˚C 온도, 90%의 고습도 환경에서도 태양전지의 내구성이 유지됐다. 함 책임연구원은 “롤투롤 코팅 공정에 필요한 ... ...
자신에게 바이러스 주입해 '유방암' 치료한 과학자…윤리적 논란 촉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할라시 연구원도 "자가 실험은 여러 사례 중 한 가지 사례를 증명할 뿐이지만
새로운
연구 방향을 시도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말했다. -https://doi.org/10.3390/vaccines1209095 ... ...
줄기세포 치료법으로 시력 회복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되더라도 윤부에 있는 줄기세포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된다. 윤부에 있는 줄기세포가
새로운
각막상피세포를 계속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일부 사람은 윤부 줄기세포가 부족해 각막이 재생되지 않아 시력을 잃는 '윤부줄기세포 결핍증(LSCD)'를 앓는다. 최근 LSCD를 앓는 환자 4명이 줄기세포 ... ...
XR 콘텐츠·게임으로 재탄생…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페어
과학동아
l
2024.11.09
안았다. 시상식에 앞서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이번 수상작들이 "국가유산에 대한
새로운
향유 방법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다니엘 사르프라즈 UNIST 디자인학과 연구원(왼쪽)은 지도교수인 김관명 교수(오른쪽)의 제안으로 2024년 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경진대회에 참여했다. 과학동아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색체서 분리된 DNA 조각, 암치료 단서 제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1.09
동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암 환자의 치료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이번 연구가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 ...
배고픔·식욕 등 인간 본능 수식으로 표현한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설명했다. 성균관대 연구팀이 앞서 개발한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해 서울대 연구팀은
새로운
항상성 이론을 수식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해당 수식을 통해 시상하부 AgRP 신경은 배고픔이라는 본능을 만들어내고 LH LepR 신경은 식욕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AI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