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스페셜
"
결국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금도 진행형인 과학기술계의 비정규직 차별
2020.11.19
우수신진연구에 비정규직 연구원은 더이상 지원할 수 없다. 김우재 제공 그러니까
결국
과기부의 세종과학펠로우십이라는 제도는 비정규직 과학자에게 아주 적은 연구비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정규직 과학자의 다른 밥그릇을 보호하는 차별을 정당화하는 프로그램인 셈이다. 정부가 대놓고 ... ...
[오늘의 뉴스픽]아직 출구를 찾지 못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직후 하루 441명까지 확진자가 늘었던 상황이 재연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습니다.
결국
정부도 19일 0시부터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하기로 했습니다. 인천은 23일 0시부터 격상합니다. 정부는 이달 초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에서 5단계로 세분화했습니다. 국민의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⑧유럽 대학의 쇠락에서 얻은 교훈, 재정확보가 중요하다
2020.11.17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기부금이나 사학 재단 전입금 규모가 작은 것을 감안하면,
결국
사실상 등록금을 통해 고등교육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나마 대학생 1인당 비용 지출은 유럽보다도 열악한 상황이다. 투자를 통해 대학의 연구 역량이 발전하고, 규모가 확대되어 대학의 연결 기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현대적 개념을 예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드리슈는 발생의 복잡성에 압도돼
결국
자연주의(과학)적 설명을 포기하고 영혼과 비슷한 모종의 원리인 ‘생기론’으로 후퇴했고 나중에는 철학으로 전향했다. 저자는 인간 게놈 정보를 청사진으로 바라보는 유전학의 관점은 현대판 ... ...
'뇌 속 독성 산소' 영향받는 반응성 별세포가 치매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중증 반응성 별세포를 만들고 뇌 속에서 염증과 화학적 변형을 유발해
결국
신경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희정 IBS 선임연구원은 “뇌의 독성물질과 함께 스트레스, 뇌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 증가로 중증 반응성 별세포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이를 막으면 ... ...
끝모를 코로나19 확산 미국·유럽 의료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이어 나가기 위해 원격진료도 실시했지만 병원 운영에 도움이 되긴 역부족이었다. 그는
결국
지난 8월 폐업을 결정했다. 맥그레고리 개원의의 사례 외에 미국 내 수천명에 달하는 병원이 팬데믹 기간동안 문을 닫았다. 미국 비영리단체인 외과의사재단이 3500명의 의사를 대상으로 지난 7월 진행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잠이 최고의 보약
2020.11.14
회복해야할 시간에 되려 스트레스를 쌓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는 것이다.
결국
걱정과 함께 ‘불안 수준’이 높아져서 잠을 더 자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잠에 대한 걱정을 멈추는 것이다. 로빈 헤이트에 의하면 이 때 중요한 팁이 바로 앞으로 잘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코로나19에도 우주산업은 혁신 중(종합)
2020.11.14
말했다. 뉴스페이스코리아업리프트 제공 미국이 지난해 출범시킨 ‘우주군’의 배경도
결국
스타트업과의 협력으로 우주개발의 비효율성과 관료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크리스티나 연 알파오메가그룹 국제우주프로그램 디렉터는 “우주 관련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스페이스X 로켓개발 이끈 엔지니어가 지목한 국내 유망 항공우주기업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사용이 인구 증가율을 능가하며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컴퓨팅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
결국
지구의 자원은 언젠가 고갈될 것”이라며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넘어 중동과 유럽으로 확장한 것처럼 우리도 지구의 지평선 너머로 확장하는 게 우리의 본성”이라고 강조했다. 우주 자원 개발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제어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유전물질의 분자구조를 파악했다는 것은
결국
유전현상을 우리 의지에 따라 제어하는 관문을 연 셈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인 유전자 가위가 20세기에 등장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지금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3세대 유전자 교정 기술로 2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