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스페셜
"
대중
"(으)로 총 61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논문에서 물고기의 인지능력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물고기의 복지에 대한
대중
의 관심을 촉구했다. - 맥쿼리대 제공 동물 복지에 지능을 따지는 건 동물의 인지능력이 판단의 중요한 척도이기 때문이다. 최근 수년 사이 유럽에서 유인원을 실험동물로 쓰는 일이 금지되고(심리, 행동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부른다. 루게릭병하면 스티븐 호킹 박사가 떠오르는데, 사실 예외적인 경우로 호킹을 본
대중
들은 이 병에 대해 오해하기 쉽다. 즉 증상은 전형적이지만 호킹의 사례와는 달리 보통 발병하면 수년 내에 사망하기 때문이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서서히 파괴되면서 결국 호흡근까지 굳어져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좀 부실했다. 영국 버밍엄대의 연구자들은 커피와 체내 수분 유지의 관계에 대한
대중
의 관심이 높음에도 이처럼 실제 연구된 사례가 거의 없다는 뜻밖의 사실에 놀라 하루 두 세 잔의 커피 섭취가 탈수를 정말 일으키는가에 대한 정밀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자들은 평소 하루에 커피 3~6잔을 ... ...
[채널A] 美 북동부 최악의 폭설…추위에 11명 사망
채널A
l
2014.01.06
“반드시 외출할 필요가 없다면 집에 머물러 주십시오. 반드시 밖에 나가야 한다면
대중
교통을 이용해 주십시오." 국립기상청은 폭설은 그쳤지만 주말까지 한파와 강풍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inter/3/02/20140104/599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벌 수 있었음에도 모든 권리를 스탠퍼드대로 넘겼다. 과학의 진보는 연구비를 대준
대중
의 몫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평소 시료와 세포주, 실험데이터 등 모든 결과물을 공유한다는 철학을 행동으로 실천했다. 그에게 중요했던 건 자신이 업적을 내는 게 아니라 과학이 좀 더 빨리 진보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네이처’에 부고를 기고한 IBM연구소의 크리스토프 거버 박사는 글 말미에 로러의 한국
대중
강연 장면을 회상하고 있다(정확이 언제 어디서 한 건지는 모르겠음). 고등학생과 대학생 4000여 명은 STM개발 과정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한 로러의 강연에 매료됐고, 훗날 거버는 한 한국 학생으로부터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
KISTI
l
2013.12.19
‘주파수’ 확보를 놓고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주파수 전쟁’은 주로 이동통신회사들 사이에서 벌어졌다. 국가의 공공재인 주파 ... 자원이다. 전파가 누구의 소유도 아닌 공공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효율적이면서도
대중
을 위한 정부의 전파활용 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 ...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뿌리를 찾다 Ⅱ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스토리를 아예 다시 써야할 정도의 큰 발견이 보고되기도 한다. 고생물학 가운데서도
대중
의 관심이 가장 큰 분야는 공룡이 아닐까. 그리고 거대한 육식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가 그 정점에 있다. 2010년 9월 17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티라노사우루스 고생물학’이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커뮤니케이션 행태를 바꾸어 놓으리라는 기대가 있었던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예전의
대중
의사소통은 정부기관이나 방송과 같은 거대한 조직이 일방적으로 송출하는 정보를 개인이 받아들이는 식이었다면, 인터넷은 이러한 일방향적인 의사소통을 극복하는 장이 되리라는 기대였다. 그러나 201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해석을 내놓고 열띤 논쟁을 벌였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학술적인 관점에서였을 뿐,
대중
의 관심을 끌기는 어려웠다. 1831년, 패러데이가 빅토리아 여왕을 알현했을 때 여왕의 질문도 “당신의 전기장치들은 대체 왜 필요한 것입니까?”였다. 물론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초보적인 전신기가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