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조 교수는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려면 새로운 제조 방식과 새로운 재료, 새로운 기술이
필요
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우드 연구팀이 개발한 파리로봇. 실제 파리가 큰 근육 한 개로 양 날개를 움직이는 것처럼 단 한 개의 액추에이터를 달아 본체의 무게를 줄였다.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과 ‘보텀업(bottom-up)’ 방식이 있다. 톱다운은 큰 석고를 조각칼로 깎듯 덩어리에서 불
필요
한 부분을 잘라내는 것이다. 보텀업은 찰흙을 붙여 형상을 만드는 것처럼 분자를 쌓아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것이다.세상에서 가장 작은 투우 소붉은 기를 향해 금방이라도 돌진할 것 같은 투우 소. 커다란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발견하는 기술과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도 개발 중이다.기술뿐 아니라 생활에
필요
한 물품도 개발한다. 사소한 생활용품부터 실험기기까지, 그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세균의 수를 셀 수 있는 광센서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면 더 이상 사람이 세균의 수를 하나씩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생각에 빠진 사람들은 이제 공학을 하기 어렵습니다. 공학이 얼마나 다양한 생각이
필요
한데요. 공학을 하려면 생각이 넓어야 합니다. 전 세 가지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자유로운 생각, 균형잡힌 시각 그리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입니다.”서울대가 앞으로 수시에서 80%를 뽑기로 해 화제가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이런 활동을 하려면 거창한 기계나 작업환경이
필요
하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일본 인력 비행기 대회에 참여했을 때 본 오사카의 한 대학 자동차 동아리는 커터칼이 가장 중요한 활동 도구였다. 번듯한 동아리실도 없이 컨테이너 안에서 커터칼과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거리만큼 띤다.하지만 교각 설치가 매우 어려운 지형이거나 다리 아래 넓은 공간이
필요
할 경우 교각 사이의 거리는 상판의 하중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려울 만큼 벌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떻게 하면 다리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교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을까?힘의 ... ...
수학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 우표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자동화 기계를 만들어 냈답니다.우표로 만나는 수학의 역사우표는 우편물을 보낼 때
필요
한 요금을 냈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정부의 기관에서 발행하는 증표예요. 오늘날에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김연아 선수나 뽀로로가 우표의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대상으로 선발한데다가 이미 지구에서 충분한 훈련을 거치고 왔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할
필요
는 없었다. 이들은 각자 전공을 살려 화성에서 작물을 기르거나, 자원으로 쓸 광물을 캐고, 우리가 살 건물을 짓고, 화성의 물질을 이용해 우리에게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줄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다. 다들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힘들어 당분간은 LHC로 이런 근본적인 모형의 실마리를 찾고 얼마나 더 높은 에너지가
필요
한지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어쩌면 힉스는 마지막 퍼즐이 아니라 더 큰 퍼즐의 첫 조각일 수도 있다.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일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술로 실리콘을 가공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돼 있어서다. 연구팀은 1kg짜리 실리콘 공이
필요
했다. 완벽한 공을 만들어 공의 부피를 알아낸 후 공을 이루는 실리콘 원자 간의 간격을 알아내면 그 안에 몇 개의 원자가 들어있는지 계산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93.75mm짜리 실리콘 공은 가장 많이 튀어나온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