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16,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06
것이라니 수학은 시기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전하는 학문 같아.몰바이데도법 1805
년
독일의 천문학자 몰바이데가 만든 지도법이야. 몰바이데도법으로 만든 지도는 면적의 비율이 실제와 같다는 장점이 있지. 그리는 방법은 적도에 해당하는 긴 지름과 극과 극을 연결하는 중앙경선의 비를 2:1로 한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나는 역사상 최초의 건축가로 알려진 임호텝이라고 해. 나는 지금으로부터 약 4670
년
전 이집트에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물인 피라미드를 지었지. 죽은 후에도 세상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세웠다고 자랑하면서 지냈는데, 최근에 피라미드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아니라는 소문을 들었어.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
수학동아
l
201005
편지는 마당에 있는 가장 큰 고목나무 가지에 넣어 두었다.우리가 절에 들어온 지 벌써 5
년
이 지났구나. 시간이 참 빠른 것 같아.그러게. 우리 처음엔 참 많이 싸웠는데…. 먹을 것 나눠 먹을 때 말이야. 하하. 그런데 스님께서 말씀하신 인연과 함수는 정말 비슷한 것 같아. 함수는 두 집합 사이의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함께 레이저를 발명했던 아서 숄로는 비선형광학분야로 니콜라스 블룸베르겐과 함께 1981
년
에 각각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세계에서 최초로 레이저 발진에 성공한 시어도어 메이먼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레이저 개념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아미노산 20종을 가지고 다양한 단백질을 만들어온 리보솜이 사람의 손길로 불과 수십
년
만에 새로운 방향으로 초고속 진화를 하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 ...
고추장 1000
년
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05
좋은 고추장을 먹었다고 한다.고추를 이용한 요리가 기록된 문헌도 있다. 세조 6
년
인 1460
년
에 적힌 ‘식료찬요’에는 조선시대 임금과 양반이 귀하게 생각했던 보신 요리로 닭볶음탕을 만드는 방법이 나온다. 비장과 위의 기가 약할 때 누런 수탉에 고추장을 주재료로 넣어 잘 삶으라는 내용이다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05
않다.과학 언론들이 감시자 역할에 소홀해지고 있다는 지적은 해외에서도 나온다. 2009
년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자협회총회’에서는 과학적 신뢰성과 엄밀성을 떨어뜨리고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과학 매체의 문제가 집중적으로 부각됐다.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는 당시 특별판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염색하는 ‘브레인보우’ 기법을 개발해 세포 수준의 커넥톰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2007
년
에 브레인보우 기법으로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쥐에 이식해 쥐 뇌의 시냅스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지도를 만들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세바스찬 승 교수는 하드디스크의 정보저장 방식처럼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05
환청을 경험하게 된다는 설명이다.그런데 심장외과 의사인 마이클 세이봄 박사는 1998
년
에 발간한 그의 저서 ‘빛과 죽음’에서 이를 반박했다. 그는 팸 레이놀즈라는 뇌 동맥류 환자의 수술을 예로 들면서 수술시 환자 머리 부분의 혈액을 완전히 뽑아 뇌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 뒤 환자가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05
대학들이 나노 관련 학과를 개설하거나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대에서는 2003
년
부터 국가 핵심연구센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4. 무엇을 배우나요? 모든 분야의 과학적 지식을 필요로 한다.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현상을 비롯해 생명현상까지 나노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