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진에 담긴 천체들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를 구했어요. 그리고 평균 거리인 106억 광년에 해당하는 천체에 피아노의 파#(F#) 음을 정했지요. 이를 기준으로 먼 은하에는 낮은음을, 가까운 은하에는 높은음을 합성했어요. 즉 소리를 들으면 지구에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는 사진을 만든 거예요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끼기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최근 멸종하는 생물종들이 급격히 많아지고 있어요.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인 20만 년 전에 비해 수백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물종들이 멸종하고 있지요. 전세계 과학자들은 빠른 멸종 속도를 지적하며 공동성명을 내고 있답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다른 생물들이 멸종하는 게 왜 심각한 문제일까요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 외계행성에 대한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노력이 정말 놀랍군! 앞으로 또 어떤 사냥꾼들이 등장할지 궁금한걸? 행성사냥꾼들이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시리즈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궁금하다면 다음 앨범 ‘結’에 주목하자. ‘영원히 소년이고 싶다던 아이들은 거짓 가면을 찢고 진실과 행복이 존재하는 미래로 갈 수 있을까? 수비학★수와 인간, 문화,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 우주 만물을 수로 표현하려 노력했던 피타고라스를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장은 졸업 후에 학계에서 자리를 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그렇게 7~8년간 샌드위치 체인점의 점원으로 일을 하거나 회계 보조 업무 일을 하면서 지냈다. 그러던 2013년, 장은 쌍둥이 소수 추측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시하며 마침내 수학자로 세계에 이름을 알린다. 그의 나이는 5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합치면 도통 풀리지 않던 문제도 풀 수 있어요. 콧구멍 크기 결정하는 기후?1800년대 말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아서 톰슨은 춥고 건조한 나라 사람들은 코가 좁고 길고, 덥고 습한 나라사람은 코가 뭉툭하고 넓다며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 있을 거라고 주장했어요. 이걸 ‘톰슨의 코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소프트웨어공학자 숀 퍼켓이 ‘계산!’이라는 잡지에 처음 소개하면서 유명해졌고, 1988년에 미국 데이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톰 간트너가 수학적으로 분석해 해법을 찾아냈어요. 콰트레인먼트를 즐기려면 우선 16칸 보드 두 개가 필요합니다. 두 보드 중 하나를 ‘출발보드’, 다른 하나를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었다.월드만 교수는 세계적인 양서류 전문가로,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하고 2009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가 이번 연구의 배경과 의미를 뒷장에 직접 설명했다. [영어로 읽어보세요] The Hurdles Frogs Must Jump to Survive Twenty years ago, biologists on opposit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양수발전소 지하 700m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실험을 해왔다. 실험실을 지하에 만든 이유는 윔프가 아닌 다른 입자가 검출기를 지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중력하고만 상호작용하는 ... ...
이전588589590591592593594595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