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 잘 익은 수박 만드는 유전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식물에 관한 최첨단 생명공학을 이끌고 있다. 정원일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
2명과 6명의
박사
과정, 3명의 석사과정, 연구원 2명 등 모두 13명의 연구원은 오늘도 식물 유전자공학의 밝은 미래를 열기 위해 밤낮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
빠르면 50년 뒤 '쥐라기 치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그 대안으로 진화사적으로 공룡과 가까운 조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스터른
박사
는 “우리가 흔히 먹는 닭의 DNA로부터 공룡을 복원할 수 있다”면서 “기술적으로는 아직 50-1백년 후의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다양한 생물에서 유전자 정보가 밝혀지고 있는데, 이 유전자들은 종을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어미의 스트레스가 태내 레트의 안드로겐 작용을 억제한다고 주장했다.옛 동독의 다너
박사
는 전쟁이 모체에 부여하는 스트레스와 트랜스젠더와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는 1943년부터 1953년 사이에 독일에서 태어난 남자를 조사했는데, 1942년부터 1947년에 걸쳐 태어난 남자 중에 트랜스젠더가 눈에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어려운 점이 있다고 토로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뉴욕 IBM에서 근무하고 있는 제자 최원경
박사
는 “교수님은 철저히 자율적인 연구를 강조하세요. 그냥 시키는 것이 익숙한 학생에게는 더 어려운 일이 될지 몰라도 다르게 보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지요”라며 ... ...
현생 포유류의 새로운 원시조상 발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상대적으로 더 크다. 이같은 사실은 좀더 이후에 나타난 현생포유류의 특징이라고 루오
박사
는 말한다.크롬프턴 교수는“이같은 변화는 쥐라기시대에 야행성 포유류가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 기능인 예리한 청각으로 진화하기 위한 결정적 단계였다”고 말한다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1981년 6월 5일 미국의 질병예방통제센터는 남성동성애자 5명이 정체불명의 치명적인 질병에 걸렸다고 발표했다.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가 최초로 발견된 순간이었 ... 고유의 경로가 있음이 확인됐다. “이것을 밝히는 연구가 우리의 미래”라고 코르베일
박사
는 강조했다 ... ...
1. 가물치 크기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갑자기 그의 머릿속에 겨울철에는 성장을 멈추는 연어가 떠올랐다.다음 날, 프레처
박사
는 이 물고기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추출해 연어의 성장호르몬과 재조합시켰다. 이렇게 변형된 연어는 사시사철 성장호르몬이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따스한 계절에만 성장호르몬을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동원해 안전하다는 확인이 된 후에야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사실 코헨
박사
가 인간에게 처음 사용한 세포질이식법은 1981년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메클러던 해리스의 논문을 응용한 것이다. 해리스는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 후 세포분열이 중단되는 불임 쥐를 연구했다. 이때 정상적인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주저함이 없었다. 좋아하는 것을 발견한 그 기쁨이 커다란 추진력이 됐기 때문이다.
박사
후 연구원 생활을 결정할 때도 자신의 연구가 사람들과 관련됐으면 하는 바램과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싶어 이름난 곳보다는 실제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메모리얼 슬론 캐터링 암센터로 지원했다. 또 국내로 ... ...
달콤한 물을 마시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루어지는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한 정수처리에 대한 내용까지 접하다 보면 ‘물
박사
’가 될지도 모를 일이다.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요즘, 수질오염이나 수돗물 불소화 등 우리 사회의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도 이 책은 찬찬히 살펴볼 만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4장 물을 극복한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