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여행은 가능하지도 않고 또 가능하다고 해도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자연
의 변화가 우연한 사건에 의해 지배되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은 과거 원인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만약에 초기조건이 같다면 우리가 지나온 과거를 정확히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식이다. 그러나 현대공학 분야들은
자연
과학적 성과에 그 원천을 두고 출현하여 더욱
자연
과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현대공학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전자공학은 양자역학 소립자론 등 현대물리학 분야의 발전으로 탄생한 공학분야다. 1950년 무렵까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작용시키는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장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단백질연구는 물리 화학 의학 약학 등
자연
과학분야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유지하고 있다.예컨대 물리학에서는 X선 회절방법을 통한 단백질의 입체구조 해석에 역점을 두고 있다. 예컨대 광물리(photophysics) 등을 단백질의 구조분석연구에 이용하고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투자했고, 연구원수는 1.6배, 학술논문 발표건수 2.8배, 연구자 1인당 특허취득 건수 1.8배,
자연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17.5배나 더 배출했다.기술무역액에서도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바와는 다르게 아직도 일본은 기술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나라다. 최근에도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해 밝혀진 것 자체가 얼마 없기 때문이다. 단지 나이가 들면 퇴화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
스러우므로 일반인들 뿐 아니라 과학자들도 노인들이 젊은 이보다 지적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해왔다.물론 직업상의 어떤 분야에서는 '노인의 현명함'을 인정해 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자기학과는 도저히 비교조차 할 수 없다. 문명이전에는 이런 현상들이
자연
스럽게 초
자연
적인 신의 존재를 합리화시켜 주었지만 현재는 슈퍼컴퓨터가 이런 질문에 충실히 답해준다. 밀림이 훼손되어감에 따라 차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져 간다고 과학자들은 분석한다. 만일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로봇공학)는 이에 더해 "공학에서의 진보가 기존의 모방과 개선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자연
과학에서는 기존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의 창조를 통해 획득된다"고 비유한다. 또 제분야가 포괄돼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어나가야하는 현대공학의 성격상 공학도는 다른 사람들과의 팀워크(teamwork)를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서두르지 않되 정확하게'내가 웁살라대학에서 몇년간 공부하며 터득한 하나의 큰 교훈은
자연
과학을 연구하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서두르는 법이 없고 모든 과정들을 명확히 실증하고 터득한 뒤에야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일을 서둘러 하다보면 외형적인 성과는 제법 빠르게 나타나지만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국민은 아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의
자연
관이 유럽의 근대과학을 특징짓는
자연
관과는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일본이 이른바 모방문화를 바탕으로 유럽과학에 필적하는 과학문화를 쌓아올린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과학사가(科學史家) 버날은 그의 저서 '역사에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미국을 무대로 발전해온 과학소설의 역사를 주요한 몇몇 인물을 통해 살펴 보았다. 이제
자연
스럽게 '90년대에 들어선 우리는 언제까지 남의 이야기를 듣는 수준에서 머무를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올 차례일 것이다.아직 본격적인 과학소설의 소개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