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생물"(으)로 총 6,6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인권으로, 마누 프라카시기사 l20200106
- 아주 낮을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이 현미경의 최대 배율은 2000배 입니다. 실감이 나지 않으시죠? ] 폴드 스코프로 본 씨앗과 생물들 출처. 구글 위의 사진처럼 성능도 아주 좋습니다. 가격, 무게, 성능까지 완벽하게 지닌 현미경 만들기에 성공한 것이죠! 기부단체로 유명한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 에서는 ‘마누 프라카시 계획’ ...
- 살아있는 기계, 미니비스트기사 l20191215
- 가정 하에 생물을 만들고 그 진화를 관찰해보고 싶어서 스트랜드비스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Q3. 테오 얀센은 스트랜드비스트가 생물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3. 스트랜드비스트는 기계이지만 생명체처럼 신경세포 같은 것이 있어 스스로 물을 감지하여 방향을 바꾸어 움직일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번식하며 진화한다고 ...
- 아마존 탐사기 북토크를 다녀와서기사 l20191209
- ▲ 아마존 탐사기 북토크 모습 작가님은 아마존에 대한 소개로 강연을 시작하셨습니다. 아마존은 산소배출 20%, 생물 다양성 10%, 파괴속도 38, 면적은 7,000,000km입니다.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라고 알고 있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아마존의 호흡과 분배에 산소가 쓰이기 때문에 사실적으로 지구의 허파는 아니라고 합 ...
- [지사탐 겨울산새]포스팅 l20191201
- 저는 생물이라면 다 좋아하지만 그 중에서도 새를 가장 좋아해요. 집에서 병아리, 메추리를 키워보다가 지금은 앵무새를 키우고 있어요. 새 그림은 앵무새밖에 안 그려봤는데 제가 새를 이렇게 잘 그릴 줄 몰랐어요! ^^겨울 산새를 찾아보니 박새가 너무 귀여워서 그려보고 싶었어요. 이틀동안 열심히 그리고 색칠했어요.작년에는 윈터윙즈에 당첨이 안되어 ...
- 멸종위기 동물들을 지키자!기사 l20191125
- 는 멸종 위기 동물들의 유전자를 연구하고 멸종된 동물들을 복원하는 일을 한다. '종복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수의학, 축산학, 생물학, 유전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고, 수많은 동식물이 가진 각각의 특성에 대한 지식과 사육 및 관리 기술도 필요하다. 나는 '종복원 전문가'가 되려면 동물과 식물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 [UN 청소년 환경 총회 2019] 우리는 MUNer, 총회는 끝났어도 실천은 이제 시작. 나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자!기사 l20191125
- 이 생물들과 내가 함께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스스로 생각해보게 됩니다. 관심을 가지고 알게 되었을 때, 그 생물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과거 무심했던 것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생태계가 다양하게 공존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에코맘코리아의 하지원 대표님과의 인터뷰는 정말 뜻깊었습니다. 특히 ‘ ...
- 청소년이 만드는 플라스틱 제로 미래기사 l20191124
-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청소년 환경 선언에 동참하고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합시다. 플라스틱 공해가 없는 지구에서 다양한 생물과 더불어 살 수 있기를 기대하며 지금까지 박성재 기자였습니다.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는 다른 행사와 다르게 명찰에 플라스틱 덮개를 안 씌웠어요 ... ...
- 『도구와 기계의 원리』의 '데이비드 맥컬레이' 작가와의 만남을 다녀와서기사 l20191124
- 사이언스』가 2020년에 출간 예정이라고 합니다. 『도구와 기계의 원리』가 물리에 대한 책이었다면, 『매머드 사이언스』 는 화학, 생물 등 다양한 과학 지식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입니다. 과학을 좋아하고 호기심이 많은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이 기대할만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김나희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림 2] 『도구 ...
- 이유가 있어서 멸종 했습니다^^기사 l20191109
- 말) 하나의 종,아니면 무리가 지구에서 영원히 모습을 감추는 일..., 이것이 바로 멸종입니다. 무척 끔직란 일처럼 느껴질꺼지만, 생물의 역사를 살펴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동물들이 원해서 멸종한 것은 아니겠지만, 심각한 멸종 이후에는 놀라운 진화에 성공한 동물이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멸동한 이후에 조류나 포유류가 놀라운 진화에 ...
- 장항습지 갔다왔어요!!!기사 l20191109
- 똥은 촉촉한 새 똥이에요!! 버드나무 길이에요. 햇볕과 나무가 어우러진 것이 멋졌어요. 게다가 나무길이 정겨웠어요~ 여기가 생물들이 많이 산다는걸 다시 한 번 깨닫게 됐어요. 하지만 야행성인 말똥게는 못 봐서 아쉬워요. 여러분은 보시길 바랄게요!! 요즘에는 전보다는 좀 쉽게 들어갈 수 있데요. 근데 저는 좀 걱정이 되요. 사람들이 많이 ...
이전5915925935945955965975985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