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놀랐다. 웬만한 과학책 저리 가라다. 정확한 지식 전달을 위해 학계에서 쓰는 어려운 단어를 거침없이 소개한다. 불친절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쉬운 설명과 자세한 그림이 따라붙는다. 오히려 몹시 친절하다.한겨레의 과학 웹진 사이언스 온에 인기리에 연재됐던 김명호 작가의 ‘만화가의 생물학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흘러나온다. 잠자리에 누워 잠들기 전까지 책을 읽는다. 슬슬 졸음이 온다. 불을 끄기 위해 직접 스위치가 있는 곳까지 갈 필요는 없다. 스마트폰으로 집 전등을 모두 끌 수 있기 때문이다.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이런 건 미래의 삶이었다. 그러나 이제 현실이 되었다. 사물인터넷 덕분이다.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봤다.이후 케플러는 행성들이 태양주위를 돈다고 믿었고, 이 행성들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해 정다면체를 궤도를 포함하는 구면에 내접시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비록 케플러의 설명에는 큰 오류가 있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기하학을 통해 우주를 바라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이후에도 ...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갑오징어(위 사진)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 상어가 다가오면 대사를 조절해 6밀리볼트 수준으로 낮춘다. 상어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스텔스 기능을 쓰는 셈이다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다. 쥐는 공 위에 선 채로 미로를 찾을 수 있지만 새로운 실험을 위해 매번 프로그램을 다시 짜야했다.최근에는 아예 광케이블을 없앤 ‘무선마우스’가 등장했다. 정재웅 미국 콜로라도대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지난 7월15일 초소형 LED를 탑재한 새로운 광유전학 장비를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남아 있는 뉴트로필이 민간 세포를 공격해 피해를 입히곤 합니다. 저희는 이를 막기 위해 전투가 끝날 무렵에 칼같이, 주변 뉴트로필들에게 목숨을 끊으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가 내려지면 뉴트로필들은 해로운 물질을 내보내던 통로를 닫고, 자신의 몸속에 그 물질을 풀어 자살을 합니다.(손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는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많은 물리학자들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표준모형을 포함하는 ‘초대칭모형’이나 ‘가벼운암흑광자이론’ 등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그 많던 반물질은 다 어디로 갔나사람을 비롯한 모든 물체는 양성자와 중성자, 전자를 기초로 구성돼 있다.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감추고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할 목적으로 화장을 한다. 때로는 얼굴 윤곽 자체를 바꾸기 위해 성형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래서 ‘성형미인’, ‘자연미인’이라는 표현도 생겼다. 하지만 수집용 광물은 성형 같은 인위적인 조작을 용납하지 않는다. 오직 자연미인만 인정받는다. 자연물이기 때문에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어요.가상화폐는 과연 안전할까?가상화폐가 널리 사용되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가 있어요. 바로 가상화폐는 민간 화폐라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감이에요.그런데 2012년 캐나다에서 한 가지 실험이 진행됐어요. 바로 정부 최초로 디지털 돈인 ‘민트 칩’을 발행한 거지요. ... ...
- [과학뉴스]음악 검색 원리로 지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매우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요.빠르고 정확한 지진 감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먼저 지진 기록 중 특징적인 부분만을 골라 미리 저장했어요. 이 데이터엔 ‘지문’이라는 별명이 붙었지요. 연구팀은 지표의 움직임 정보에서 지문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빠르게 ... ...
이전5935945955965975985996006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