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사체는 내 사랑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기 때문이다. 돌고래 같은 소형고래는 그대로 연구실로 가져온다. 하지만 집채만 한
큰
고래라면 현장에서 내장을 일일이 해부해 분리해야 한다.실제로 대왕고래, 향유고래 등 길이가 10m를 훌쩍 넘는 고래들은 피부를 절개한 후 사체 속으로 들어가 작업을 해야 한다. 작업하는 동안 피가 무릎까지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입춘 추위가 떠나고 모처럼 낮에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간 2월 중순 관악산 중턱에 있는 서울대 공대를 찾았다. 최근 딱정벌레 날개의 결합원리를 이용해 ‘ ... 융합이 강조되는 시대가 됐으니까요.” 지금까지 서 교수가 발표한 160여 편의 논문은 더
큰
도약을 위한 서막에 불과하지 않을까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동물의 신경계가 전기신호를 통해 작동한다고 추측했죠.과학에서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는 발생학이 아닐까요. 수정란에서 완전한 형태의 개체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니까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쥐도 발생학을 연구하기는 쉽지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형성하고 있다. 건물들은 떨어져 있으면서도 서로 연결돼 있다. 도시 한복판에 이렇게
큰
시장이 있는 경우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다.세운상가와 낙원상가도 마찬가지다. 1km가 넘는 거대구조물이 도시를 가로지른 경우는 우리나라에만 있다. 연구실의 강건우 석사 졸업예정자는 졸업논문으로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쓰지 않고서도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개에게 전달할 수 있다.클리커 트레이닝의 가장
큰
장점은 개가 자발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반려동물이 내가 원하는 것을 알고, 내가 원하는 것을 반려동물이 아는 소통의 순간. 그 짜릿함을 독자 여러분도 느껴 보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래도 우리는 저 비행기들을 타고 5대양 6대주를 누빈다. 중동 바레인에서 두 번째로
큰
인공섬인 두랏 알 바레인은 면적이 2000만m2에 달하며 모두 13개의 섬으로 이뤄져 있다. 6개의 환초를 포함해 5개의 물고기 섬, 2개의 초승달 섬이다. 그러나 우주에서 보니 마치 아기 욕조에 떠 있는 작은 모형 ... ...
지위가 높을수록 키 크다고 느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바타를 만들게 했더니 지위가 높았던 때를 쓴 피실험자 집단은 자신의 키보다 더
큰
키의 아바타를 만들었다. 그러나 부하였던 때를 쓴 집단은 자신의 키보다 더 작은 아바타를 만들었다. 이 결과는 실제 과거 경험에 관계없이, 가상으로 역할을 맡았을 때도 마찬가지였다.자신감이 키가 실제보다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번 연구는 한 쌍의 나노구조물의 열전도성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다. 각기 다른 두 종류의 알코올로 나노구조물을 적셨다가 증발시키는 기작을 통해 열전도성을 높일 수도, 낮출 수도 있었다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여성의 유방암 발생 속도도 1년에 7%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영양상태의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영양상태가 좋아지면서 옛날보다 초경은 빨라지고 폐경은 늦어졌다. 생리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더 받게 된 것이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유방을 자라게 할 뿐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한 차례 연구를 끝냈고, 작년 5월과 8월, 11월 세 차례에 걸쳐 다시 한번 조사했다. 수질은
큰
차이가 없었다. 김병호 연구사는 “수질 측면에서는 인공과 자연 둠벙에 특별히 장점도 단점도 없었다”고 밝혔다.하지만 생물은 차이가 났다. 인공 둠벙에서 채집된 개체수가 2009년에 비해 1.5배가 늘었다.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