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3,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12
- 2012년 당신의 지구는 안녕하십니까지구 자기장1000년 만에 역전된다지구자기장이 가끔 180° 뒤집힌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나침반이 완전히 반대로 향한다는 뜻이다. 문제는 시간이다. 지금까지는 지구자기장 역전이 5000년에 걸쳐 일어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이 시간이 1000년으로 당겨질 수 있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12
-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중국 쿤밍(昆明) 행 직항은 서쪽을 향해 약 세 시간을 날아 도착한다. ‘곧 착륙한다’는 기내 방송이 나오면 비행 정보를 켜서 실시간으로 떨어지는 고도를 보는 것이 비행기를 타는 묘미다. 1만m가 넘는 높이에서 0m까지 숫자가 줄어드는 만큼 도착지에 대한 기대감은 ... ...
- “고등학교 화학실험에서 화학자의 길 찾았어요”과학동아 l201212
- 로저 콘버그 교수의 열띤 강의를 잠시 끊은 것은 한 통의 전화벨 소리였다. 바로 콘버그 교수의 휴대전화였다. 발신자를 확인한 콘버그 교수는 청중에게 양해를 구한 후 전화를 받았다. 막내아들의 전화였다. 통역을 하던 강린우 건국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콘버그 교수님이 다른 전화는 안 받아도 ... ...
- 서경대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과학동아 l201212
- 내 손 안의 스마트폰, 책상위의 컴퓨터. 이 둘의 공통점은? 바로 컴퓨터과학이 쓰인다는 점이다. 정보화 사회의 핵심, 컴퓨터과 학을 공부하고 싶다면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서경대 컴퓨터과학과를 눈여겨보자. 내 손으로 직접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SNS를 구축하는 것, 직접 최고 인기 앱을 만드는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12
- 염라! 이제 천상의 왕을 뽑아야 할 때가 됐어. 그런데 왕은 뭐니뭐니 해도 얼굴이지? 일단 잘생기면 호감이 가잖아. 나처럼.그게 말이나 돼? 결코 내가 외모에 자신이 없어서 하는 말이 아냐. 자고로 왕이란 똑똑해야지. 특히 수학을 잘해야 한다고! 나처럼.왕이면 정치지, 어떻게 수학이야? 염라, 요 ...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11
- 2012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은 머릿속으로만 생각했던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양자컴퓨터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광시계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한 과학자들이었다. 프랑스의 세르주 아로슈 콜레주드프랑스 교수와 데이비드 와인랜드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 박사가 주인 ...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211
- “낯을 가리고 수줍음이 많은 쥐도 있나요? 제가 그렇거든요.”지난 9월 23~27일 제주 서귀포 칼 호텔에서는 쥐 연구분야의 대표 학회인 다산 학회와 국제마우스표현형분석 컨소시움(IMPC) 학회가 연달아 열렸다. 다산 학회 마지막 날인 9월 25일 아침, 행사장에서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 ...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과학동아 l201211
-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인체에는 약 60조 개의 세포가 있으며 그 종류는 약 220가지에 이른다. 수많은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며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 생명활동을 유지시킨다. 놀라운 점은 이 모든 세포가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탄생한 수정란이란 단 하나의 세포에서 유래했다는 ... ...
- 영상의학,수학과 만나다!수학동아 l201211
- 얼마 전 2012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더군. 혹시 CT 진단법을 개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가 생물학자가 아닌 물리학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오, 그래? CT 진단법이라…. 사실 한의학과는 크게 관련이 없지만, 작동 원리나 기술이 만들어진 배경이 궁금하긴 하군. 좀 설명해 줄 수 있어?좋 ...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과학동아 l201211
- 1997년 인류는 ‘순간 이동’의 가장 기초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전송’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어났다가 최근에는 143km까지 연장됐다. 앞으로 대기권 바깥의 인공위성으로도 양자 전송 실험을 할 계획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도 양자 전송과 관계가 깊다.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