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꽤어려워요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화학 분야의 연구자라면 누구나 소원하는 기술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에서 3차원으로 보는 것이다.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원자 하나하나의 배열과 상호작용이 나노입자의 성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가령 나노입자의 원자 배열 ... ...
- [에디터노트] 같은 구름 아래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0월호 마감을 하다 말고 잠깐 고개를 들어 하늘을 봅니다. 구름이 참 아름답습니다. 처음 편집장이라는 큰일을 맡게 된 부담도, 종일 쓰고 있는 마스크의 답답함도 잊게 되는 멋진 풍경입니다. 이때다 싶어 오랜만에 친구에게 연락을 했습니다. “하늘 봐봐. 구름 참 예쁘지 않니? 내가 찍은 영상 ...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클라우드는 한 마디로 빌려쓰는 서비스다. 클라우드 제공자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메모리,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IT자원을 빌려준다. 클라우드가 기술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구름 속을 들여다보자. 깊이가 다른 세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09년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썸머 워즈’는 ‘OZ’라는 가상세계의 통신망으로 전 세계가 연결된 모습을 배경으로 한다. 유통, 통신, 금융 등 세상 모든 일을 OZ의 세계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단말기만으로 가볍게 처리한다. 그야말로 클라우드 세상이다. 오늘날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상상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극지를 관찰하는 ‘눈’은 다양하다. 극지에 직접 간 연구자의 눈, 곳곳에 설치한 카메라의 눈, 무인기가 내려다보는 눈, 헬리콥터를 타고 하늘에 올라 관측하는 눈까지. 인공위성은 그들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지구 전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눈이다. 수백km의 얼음 변화를 한 눈에유례없는 폭 ...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4월 6일,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서울송도병원 공동연구팀은 대소변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스마트변기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변기에는 카메라, 압력센서, 소변검사지 등이 있어요. 카메라는 사용자의 항문과 ‘볼일’을 찍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최근엔 연구 재료로 변신해 과학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는 장난감들도 있어. 의학, 생태학을 연구하거나 AI 로봇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장난감이 활약하고 있지. 의학 연구를 위해 레고 머리를 꿀~꺽?! ※절대 따라 하지 마세요.미국에선 매년 10만 명이 이물질을 삼켜 병원을 찾아요.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데이터를 요리하는 기본적인 레시피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요리하는 걸 한번 보여드릴게유. 오늘 요리할 데이터는 청소년이 좋아하는 온라인 게임의 데이터예유. 많은 사람이 즐기는 온라인 게임은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쏟아져나오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자에게는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일종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우리나라의 유일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여름마다 북극으로 나선다. 겨울철 꽁꽁 얼어있던 북극해는 기온이 올라가며 쇄빙연구선이 지나갈 틈을 내준다. 올해도 아라온호는 베링해, 척치해, 동시베리아해를 향해 7월 17일 출항했다. 북극 항해가 마냥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여름에도 두께가 2m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오늘날 생명과학은 DNA에서 시작해 DNA에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NA를 토대로 생명의 비밀을 밝히고 DNA를 토대로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하지만 인간이 인간의 DNA를 해독하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 전이고, 모든 염기서열을 읽어낸 건 20년도 채 안 된다. DNA 해독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